국회에 손 내민 朴 대통령, 野 "선거 前과 똑같아"

입력 2016-04-18 19:40:4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선거 후 첫 박 대통령 메시지, 책임론 언급 피해 야권 비판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4'13 총선에서 나타난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고 밝혀 향후 국정 운영의 기조나 방향에 대한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20대 총선과 관련해 ▷민의를 겸허히 받들어 국정의 최우선 순위를 민생에 두고 ▷경제 발전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마무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민의'에 방점을 찍었다. 또 새롭게 출범하는 ▷국회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박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는 '국민의 뜻 존중'과 '국회와의 협력' 등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박 대통령이 총선 결과를 겸허히 인정하면서 국민의 뜻에 따라 민생에 가장 역점을 두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특히 박 대통령이 그동안 경제 및 노동 관련 법안 통과 지연 등을 두고 정치권을 비난하고, '국회 심판론'을 끊임없이 제기해왔다는 점에서 20대 국회와의 협력을 강조한 부분은 향후 '대국회관(觀)'의 변화를 점쳐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야당은 박 대통령이 정부책임론이나 반성, 변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내 향후 대야 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경 대변인은 논평에서 "총선 이후 첫 발언이어서 기대했지만, 박 대통령은 단 한마디의 반성도 없었다. 선거 전의 인식과 달라진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총선을 통해 표출된 민심은 일방통행의 국정 운영을 중단하고 국정 기조를 전면 전환하라는 것"이라며 "이런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해 국정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김정현 대변인은 "총선 민의에 대한 인식이 안이한 것 같다"면서 "청와대 및 정부 전체가 확 바뀌었다는 것을 국민이 피부로 체감할 정도로 반성하고 변화하지 않는 이상 국회의 협조도, 경제 활성화도 어려울 것"이라며 비판적인 반응을 내놓았다.

결국 이번 총선 결과가 박근혜정부 3년에 대한 중간평가와 새누리당 공천 과정의 오만함에 대한 심판이란 점에서 박 대통령이 정부책임론과 국정 쇄신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고 피해간 것으로 야당은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민생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로 두겠다면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과 경제혁신 3개년계획을 마무리하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해 노동 4법 등 구조개혁과 경제혁신이라는 국정 운영 방향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처럼 4대 분야 구조개혁과 경제혁신 등 국정 기조를 강하게 밀고 가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와 국정 기조의 대전환을 요구하는 야당의 입장이 타협이나 설득을 통해 어떻게 합일점을 찾아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