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금까지의 정부 중심 안전문화운동엔 한계가 있다고 판단, 민간 주도 방식의 자율적 운동, '공동체 중심 안전문화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시는 지역이나 직장'시설, 직능단체 등의 안전문화 공동체 형성을 유도하고, 점검'교육'신고 등 3대 핵심 수단을 중심으로 공동체별 자율적 예방 및 대응활동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의 경우 통'리는 물론 마을, 아파트단지 등 행정구역이 아닌 다양한 지역적 형태 단위도 포함하고, 직장'시설은 유치원, 학교, 사업장, 전통시장에다 멀티플렉스, 레저시설 등 다중이용시설과 복지시설, 산업단지 등도 포괄한다. 요식업이나 숙박업 등 직능별로 구성된 협회, 단체까지 안전문화운동에 동참시킬 작정이다. 시는 4월 중 안전문화 공동체를 결성하고 리더를 선정한 뒤 5월쯤 책임리더 교육 및 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협업을 통해 재난을 예방'대비하고 대응하는 재난관리체계 확립에도 힘을 쏟는다. 시는 먼저 위기관리 매뉴얼을 만들어 재난 발생에 대비해 평소 재난관리 기관별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기로 했다.
박종률 사회재난과장은 "최근 재난 피해 범위가 넓고 유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이들 대규모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는 협업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