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절대 불가" 김무성 대표도 입장 선회
총선을 치르기도 전에 새누리당의 탈당파 무소속 후보의 거취 논란이 뜨겁다.
대구의 무소속 후보들은 "당선 뒤 복당하겠다"며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반면 사실상 이들을 축출해낸 친박계는 '복당 불허'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핵심 관계자들은 "새누리당의 친박핵심이었던 윤상현도 복당 안 시킨다"며 무소속의 복당 불허를 명확히 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이런 방침에도 불구하고 탈당파 무소속의 복당 문제는 총선 후 정치적 쟁점이 될 전망이다.
◆탈당파 복당, '뜨거운 감자'
11일 무소속 유승민 후보는 "선거 후 복당 신청을 할 것"이라며 "과거 전례를 보면 복당 신청이 거부된 적이 거의 없었고 이번에도 그럴 이유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후보는 이날 대구 동구 선거사무소에서 권은희'류성걸 후보와 무소속 연대 공동 기자회견을 가지며 이같이 밝혔다.
유 후보는 지난달 23일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자신의 공천 결과를 발표하지 않은 채 무소속 출마 시한이 다가오자 탈당 기자회견을 열며 "한시적 탈당"임을 밝힌 뒤 줄곧 복당 의사를 천명해왔다.
그러나 친박계는 복당 불허 방침에서 한 발짝도 물러나지 않고 있다. 유 후보가 복당 의사를 밝힐 때마다 '당헌'당규'를 거론하며 복당 승인은 없을 것이라는 강한 메시지를 밝히고 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최근 "무소속 출마자가 당선되더라도 복당은 불가능하다"며 선을 그었고,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도 "정체성 문제로 탈당 상황이 온 그분은 당에 다시 들어오기 힘들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최경환 대구경북 총괄선거대책위원장도 "무소속 후보 지지는 곧 야당 후보 지지"라는 점을 역설하면서 "현재로선 무소속 후보가 입당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지금은 말할 단계가 아니다"며 복당 문제를 우회적으로 피했던 김무성 대표 역시 대구를 찾은 자리서 "대구시당에 다 넘기기로 했다"며 사실상 '복당 불가' 입장으로 선회했다.
◆'복당' 정치적 계산에 달려
현재로선 친박계가 무소속 탈당파에게 '복당'의 문을 열어 줄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친박계는 '막말 논란'을 빚어 탈당한 자신들의 계파 핵심에 있었던 윤상현 후보마저 '복당은 없다'며 유 후보 등을 받아들이느니, 차라리 '제 살'을 도려내겠다는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치는 살아 있는 생물. 정치권에서는 총선 결과에 따라, 또 총선 뒤 급속하게 돌아가는 정국 현상에 따라 얼마든지 '정치적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우선 새누리당이 과반 달성 실패 시,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해 최대 11석까지 점쳐지는 무소속 당선자를 끌어안지 않을까 하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6, 7월쯤 열릴 것으로 보이는 전당대회도 변수다. 친박계의 탈당자 복당 불허 방침은 유 후보가 복당할 경우 '비박계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 미리 '복당 차단'으로 견제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20대 원구성이 되고 새로운 지도부 창출 과정에서 신(新)계파의 탄생, 계파 간 합종연횡 등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들의 복당 문제는 '편짜기'에 따라 또 하나의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유 후보 간 관계 회복 여부도 관건. 현재로서는 박 대통령이 '배신'의 낙인을 찍은 유 후보를 끌어안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친박계 역시 '국정 발목 잡기' 행태를 일제 공격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차기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자연스레 박 대통령의 힘이 빠질 수밖에 없어 극적인 관계회복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총선서 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경쟁자로 편이 갈린 구도에서 당의 탈당자 복당 문제 입장은 '불허'밖에 없다. 그러나 총선 뒤 전당대회, 차기 대선을 앞두고 권력구조가 요동치면 복당 문제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그런 사례는 예전부터 자주 봐왔던 장면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