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회가 수용해야 할 다문화와 이주민

입력 2016-03-14 22:04:50

다문화와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수용성 지수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9~11월 전국의 성인 4천 명과 중'고등 청소년 3천640명을 대상으로 문화 개방성과 국민 정체성 등 8개 항목으로 실시한 2015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결과를 분석해 14일 발표한 자료를 통해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수용성 지수가 과거 조사 때보다 높아진 사실은 다행스럽고 긍정적인 일로 평가할 만하다.

조사 결과 100점 만점 기준으로 성인은 53.95점으로 2011년 조사의 51.17점보다 2.78점 올랐다. 청소년 역시 67.63점으로 2012년 조사 당시의 60.12점에 비해 상향됐다.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수용 폭은 성인보다 청소년이 더 높았다. 이는 연령대별 지수에서 그대로 나타난다. 청소년이 67.63점으로 가장 높고 20대, 30대가 각각 57.5점과 56.75점이다. 40대, 50대는 54.42점과 51.47점인 반면 60대 이상은 48.77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수용성 지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졸 이하는 47~53점대를 기록했고, 월소득 200만원 미만의 경우 51~52점대였다.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자 51.22점, 전업주부 51.4점, 농림어업 51.83점, 기능'조립 종사자는 52.96점으로 평균치 밑이다. 사례를 든 이들 학력 직업별 수용성 지수는 2011년 조사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취업 경쟁 등으로 현실적인 이해가 충돌하기 때문인 탓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 결과는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국민 편견과 오해의 시각이 아직도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런 부정적 수치가 비록 여전하지만 긍정적인 점도 적잖다. 젊을수록 이해도가 높고 과거 조사보다 몇몇 분야의 지수가 올라간 점은 고무적이다. 앞으로도 개선될 여지가 많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 거주 외국인은 170만 명, 다문화가족도 82만 명에 이른다. 이들의 기여 또한 적잖다. 노동, 산업과 인구 분야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미 우리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인 셈이다. 국민 모두가 이들을 배려해야 하는 것은 물론 정부의 교육과 홍보가 절실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