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관련 기관엔 사이버 공격
북한이 정부 내 주요 인사의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등 일부 피해사례가 발생했으며, 철도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부 내 상당히 중요한 인사들의 스마트폰이 해킹됐고,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한 이 당국자는 철도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있었지만, 당국이 이 사실을 파악하고 차단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국가정보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사이버 테러는 공격 근원지 추적이 어려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 데다 막대한 사회'경제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국제사회 제재에 반발하고 있는 북한이 사이버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고 실제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가정보원은 8일 오전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기관별 대비태세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북한이 4차 핵실험 이후 국가기반시설 인터넷망 및 스마트폰 등에 대한 해킹 공격을 통해 우리의 사이버 공간을 위협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대규모 사이버 테러 가능성이 있어서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테러 시도 및 국내 주요인사 스마트폰 해킹 등 최근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공유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북한이 사이버 공간상에서의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사이버 테러가 발생한다면 경제적으로 큰 피해뿐만 아니라 사회 혼란과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앞서 국정원은 2011년 '농협 전산망 사이버 테러', 2013년 '3'20 사이버 테러' 등 북한이 주도한 대규모 사이버 테러 사건이 발생하거나 징후가 포착할 때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