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같은 획일적인 표준이 아이의 창의력을 죽인다.'
'시끄러운 곳이 창의력에 효과적……적정치 70db.'
손가락 몇 번만 까딱하면 창의력에 관한 수많은 기사를 쉽게 볼 수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창의력에 관심이 있다. 창의력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글쓰기이다. 하지만 이것도 요령껏 해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바로 생각의 틀을 깨는 훈련이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하겠다.
① 쪼개기=주제를 쪼개는 방법이다.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생각 거리를 만들 수 있다.
예)봄꽃? 봄+꽃/아침독서?아침+독서
② 보태기=주제에 다른 말을 덧붙이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생각의 범위가 더 넓어진다.
예)봄?봄꽃, 소풍?봄 소풍, 독서?독서와 책
③ 엎치기=반대말 개념이지만 사전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관념적인 반대 개념을 버리고 주관적이고 창의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주관적 반대말은 사람에 따라 생각의 기준이 다르므로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반대말을 만들어보면, 단어 하나에 10가지 이상의 반대말을 찾을 수 있다.
④ 특수화=주제를 구체적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큰 개념에서 작은 것으로 내려오는 방법이다.
예)꿈?봄날의 꿈/나의 꿈, 과일?딸기?딸기잼
⑤ 일반화=특수화의 반대개념이다.
예)위문편지? 편지, 비?날씨, 봄?사계절
이런 방법을 사용하면 같은 주제를 더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재료가 많다면 글쓰기는 좀 더 쉬워질 것이다.
생각을 바꾸면 다른 길이 보인다. 글쓰기뿐 아니라 모든 생활에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창의력은 모든 사고의 출발임을 명심하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