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머나먼 경북도 신청사, 교통 편의 대책 세워야

입력 2016-03-01 20:52:10

경상북도가 안동'예천 신청사 이전을 마쳤지만, 현저히 떨어지는 접근성 문제로 어려움이 많다. 도청 신도시와 연결하는 국도·지방도 건설에 3, 4년 이상 걸리는 것도 문제지만, 가장 우려하는 것은 서민들이 이용하는 시외버스 노선마저 제대로 정비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도청 신도시를 오가는 시외버스는 명목상 하루 13개 노선, 49회가 운행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 가운데 안동'예천~신청사 직행 노선과 신청사~예천~서울 노선을 제외하면 9개 노선, 29회 운행이 전부다. 경북도 내 20개 시·군(안동, 예천, 울릉 제외) 가운데 시외버스로 신도시를 오갈 수 있는 곳은 문경, 상주, 청송, 영덕, 의성, 영천, 경주, 영주, 김천, 포항 등 11개 시'군뿐이다. 의성, 군위, 영천, 경주에서는 고작 하루 한 차례 운행한다. 나머지 시·군에서는 시외버스를 2, 3차례 갈아탈 수밖에 없다.

경북도 관계자는 신도시 인구가 적다 보니 운수업체에 운행 횟수를 늘리라고 요구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했다. 2020년 신도시 시외버스 터미널이 생기기 전까지 대중교통 이용자의 불편은 계속될 전망이다. 더구나 신도시를 오가는 안동지역 시내버스 기사들이 지난달 중순부터 근무 조건을 이유로 운행 거부를 하고 있어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시내버스가 풍산~신도시 구간만 운행해 안동에서 신도시로 가려면 두 차례 갈아타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대중교통으로 신도시를 오가려면 엄청난 불편을 감수하거나 승용차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도민이 찾아가기 힘든 도청이라면 그 존재 의의가 훼손될 수밖에 없다. 아무리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지만, 대중교통 대책조차 세워놓지 않고 도청을 이전한 공무원들의 무책임과 무감각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경북도는 신도시 인구가 10만 명에 이르는 2022년쯤에는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그때까지 무작정 기다릴 것이 아니라, 민원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경북도는 셔틀버스 운행, 시내·시외버스 증편 등 가능한 수단을 모두 동원해 접근성 향상에 전력을 쏟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