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학군 선호 현상이 숙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수성구의 중학교에 다니며 비수성구 고교 배정을 희망한 학생이 크게 늘었다. 반면 비수성구에서 수성구 고교로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줄었다. 해마다 위장 전입, 이사 등 온갖 방법으로 수성구 고교로 진학하려던 움직임이 쇠퇴하고 있는 것이다.
2016학년도 고교 배정 결과 올해 수성구에서 비수성구(중구'동구'북구, 2학군)로 1지망 배정을 신청한 학생은 모두 493명이었다. 지난해 333명에서 48% 증가한 것이다. 비수성구를 희망한 학생 수는 전체 수성구 거주 학생의 9%다. 반면 비수성구에서 수성구로 지원한 학생은 올해 482명에 지나지 않았다. 지난해 500명에서 되레 줄어든 것이다. 수성구에서 비수성구로 진학을 희망한 학생 수가 비수성구에서 수성구로 들어오려는 학생수를 역전한 것은 고교 추첨 배정 후 처음이다.
대학입시에서 수시 모집의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우수 학생들이 몰리는 수성구 고교의 경우 내신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주로 학생부로 신입생을 뽑는 수시모집에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아직 미약하긴 하나 일부 학생들로부터 탈 수성구 움직임이 확산하는 것은 정시 대비 수시모집의 중요성을 깨달은 데 따른 자연스런 현상이다. 일부 학생이나 학부모의 '무조건 특정 학군 내 특정학교 진학' 고집이 서서히 무너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한 도시에서 지역 간 교육 격차가 큰 것 자체가 비교육적이다. 수성구과 비수성구로 나뉘는 것부터가 차별적이다. 이로 인해 수성구 고교는 과밀 학급에 시달리고, 비수성구 고교는 학습 분위기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학군에 따른 부동산 가격 격차 역시 '빈익빈 부익부'라는 사회적 부작용을 부른다. 비수성구 학교로 진학 희망 학생 수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 신호다. 그렇다고 교육 당국이 할 일을 다 했다고 할 수 없다. 일시적인 현상이라 하더라도 이를 바탕으로 교육 격차와 과밀 학급 해소 등 정책적인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우수교사를 비수성구 지역에 우선 배치해 비수성구 지역에 명문고를 양성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