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5만 년 전 호주에 살았던 '거대 새'가 멸종한 것은 자원이나 거주 공간을 놓고 벌어진 경쟁 때문이 아니라 알이 너무 맛있었기 때문이라고 미국 '애틀랜타 저널-컨스티튜션'(AJC) 등 현지 언론들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콜로라도 대학 연구진은 '제니오니스'라 불리는 거대 새의 알 파편 조각들을 분석한 결과, 인간이 알을 요리해 먹은 흔적이 발견됐고 이 때문에 이 거대 새가 멸종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9일 자에 발표했다.
약 5만 년 전 호주에는 길이 2m에 무게가 220㎏이나 나가는 날 수 없는 제니오니스가 살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멸종했다.
연구진은 호주 10개 지역에서 모은 알껍데기 파편들에서 일부 불에 탄 흔적이 발견됐고 같은 공간에서 다수의 알 껍데기들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알껍데기가 탄 것이 아니므로 이는 산불이 아니라 조리의 증거이며 인간이 둥지로부터 알을 수확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기퍼드 밀러 교수는 "인간이 다 큰 거대 새를 사냥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알을 먹으면서 그 종의 번식을 끊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당시 확연한 기후 변화가 일어났고 인간이 멸종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지만 인간의 활동이 거대 새 멸종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제니오니스는 오리와 백조 류의 거대 새이며 2008년 고대 암벽화에서 제니오니스로 추정되는 새가 그려진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