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해 대구를 비롯해 경산과 고령 등 낙동강과 금호강 일대 17곳에서 뉴트리아 349마리를 잡았다. 앞서 2014년 8곳에서 잡은 150마리에 비해 배가 넘는다. 특히 지난해는 265마리가 금호강 일대에서 잡혀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낙동강 하류의 서식지가 점차 대구경북으로 북상 중이고 번식도 왕성하다는 증거이다.
뉴트리아는 모습이 쥐와 비슷하나 길이 90㎝, 몸무게는 10㎏에 이른다. 토끼 같은 앞니, 개처럼 뛰는 모습으로 괴물쥐 혹은 물토끼, 민물개로 불린다. 생태계 질서를 파괴하는 대표적인 유해 동물이다. 벼, 고구마, 양배추 등 농작물과 수생식물을 가리지 않고 하루 1㎏을 먹어치운다. 활동 반경이 4㎞에 이르고 뿌리까지 갉아먹고 땅에 15~20m의 굴을 뚫고 산다. 농가의 농작물 수확 감소는 물론 뚫은 굴로 댐, 둑, 제방이 내려앉는 등 피해가 크다. 2009년 포유류 가운데 처음으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이유다.
사실 뉴트리아의 피해는 과거 농가 소득을 위해 도입한 황소개구리 등 사례처럼 정부 정책의 실패 결과다. 남미가 원산지인 뉴트리아는 고기 식용과 가죽의 모피 이용을 위해 1985년부터 수입됐다. 하지만 판로와 소비 문제로 사육 대신 강, 호수 등에 마구 버렸고 그 폐해는 고스란히 남았다. 농작물 피해 확산과 함께 포획에 나섰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꼴이 됐다. 아직도 9천여 마리가 번식 중이고 90%는 낙동강 하류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서식지의 북상과 분포 확산이다. 이번 대구환경청의 포획 분포가 이를 잘 보여준다. 금호강 하류인 검단동과 팔달동뿐만 아니라 상류인 안심에서도 53마리를 잡았다. 나아가 금호강 지천인 경산 오목천에서도 60마리가 포획됐다. 주 서식지 낙동강 하류를 벗어나 중류로 퍼진 데 이어 낙동강 지류와 지천까지 점령한 셈이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수많은 경북의 강, 하천을 통한 추가 피해가 분명하다.
대구지방환경 당국은 물론 특히 강을 낀 대구경북 지자체는 피해 확산을 막을 지속적인 포획과 경계 활동을 펴야 한다. 퇴치단 보강과 포획 지점 확대, 포획 인센티브 제공 등 실효적인 대책을 늦출 수 없는 까닭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