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계 최재천·권은희 탈당…문재인 조기 선대위 구성 거부
새정치민주연합이 사실상 친노(親盧'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 진영을 대표하는 정당으로 축소되고 있다.
문재인 대표가 28일 당내 중진과 비주류의 '당 통합을 위한 중재안'(조기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및 대표직 사퇴)을 거부함에 따라 비주류의 탈당 도미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철수계에 이어 광주지역 국회의원들이 잇따라 당을 떠나고 있고 김한길 전 공동대표를 따르는 의원들과 동교동계(김대중 전 대통령 지지세력)도 들썩이고 있다. 사실상 친노'주류를 제외한 비주류 대부분이 탈당을 염두에 두고 있어 분당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 거취는 제가 정할 것이고 결단도 저의 몫"이라며 "더 이상 제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문 대표는 탈당을 저울질하며 자신의 거취를 압박하고 있는 현역 의원들에게 최후통첩을 날리기도 했다. 문 대표는 "탈당을 언급하고 있는 분들도 이제 그 뜻을 거두어주길 바란다"며 "이제 우리는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고 가야 할 길을 가야만 할 때"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가 정면 돌파 의지를 보임에 따라 비주류의 연쇄 탈당에 보다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김한길계가 먼저 행동에 돌입했다. 김 전 공동대표와 가까운 최재천 전 정책위의장(서울 성동갑)과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에 반발했던 권은희 의원(광주 광산을)이 이날 당을 떠났다. 수도권 의원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김 전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적 문제는 국회의원 개개인의 아주 고독한 정치적 결단의 산물"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그동안 김 전 공동대표가 문 대표의 사퇴를 자신의 탈당과 연계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밝혀온 점을 고려하면 김한길계의 연쇄 탈당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동교동계도 이탈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동교동계의 상징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권노갑 상임고문이 탈당 결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에선 친노'주류가 비주류 현역의원이 떠난 자리에 국민이 호응할 만한 참신한 인사를 얼마나 채워넣느냐에 따라 새정치연합의 운명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