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출마 거론 장관 모두 교체…실무·안정형 인사 낙점

입력 2015-12-21 20:37:58

박 대통령, 인선 배경…4대 구조개혁·경제 살리기 국정 주요과제 원활한 추진 의지

박근혜 대통령이 경제 및 사회 부총리를 비롯한 장관(급) 6명에 대한 '총선용' 개각을 단행, 앞으로 4대 구조개혁과 경제 살리기를 위한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 고삐를 죌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총선 출마가 확실시되는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황우여 사회부총리, 정종섭 윤상직 김희정 장관을 모두 교체함으로써 총선을 겨냥한 개각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이번 개각에서 바뀐 장관들의 면모를 보면 장관을 지낸 국회의원과 현직 관료 등 청문회 통과가 어렵지 않은 실무'안정형 개각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박 대통령은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마무리된 상황에서 총선 출마가 거론되는 장관들을 모두 교체함으로써 집권 4년차를 실무형 장관들과 함께 정책의 연속성을 갖고 국정을 끌고나가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집권 후반기 국정의 주요과제인 노동'금융 등 4대 구조개혁과 경제 살리기 등을 원활하게 추진하면서 집권 후반기 동력을 확보하겠는 의지를 이번 개각에 담아낸 것으로 관측된다.

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최경환 경제팀'의 정책기조를 이어가면서 국정운영을 안정적으로 끌고 가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이는 경제팀 수장으로 국토부 장관을 마치고 국회로 복귀한 유일호 의원을 다시 앉힌 점에서 알 수 있다. 야권에서는 경제 부총리 인사를 '땜질식 회전문 인사'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공유하고 경제정책의 연속성을 고려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창조경제분과 의장을 역임해 현 정부의 교육정책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이준식 서울대 교수를 내정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의 마무리 등 임무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장관과 산자부 장관에는 모두 관료 출신을 내정해 전문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