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16일 FOMC 정례회의…"0.25∼0.50%로 올릴 전망, 자산가치 하락 등 후폭풍
미국이 15, 16일로 예정된 미국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00~0.25%에서 0.25~0.50%로 인상할 전망이다.
2006년 12월 16일 이후 9년 만에 처음 기준금리 인상이다. 2008년 금융위기로 촉발된 7년간의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섰다는 의미다.
세계경제뿐 아니라 한국경제도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특히 한국은 외국인 자금 유출, 자산가격 하락, 소비경기 침체 등의 부작용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3일 글로벌 금융업계 전문가들은 조사기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해도 대부분 12월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지난 10월 FOMC 회의 이후 재닛 옐런 연준 의장 등 많은 연준 위원들도 "기준금리 인상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12월 금리 인상을 시사해왔다.
연준은 그간 금리 인상의 전제 조건으로 고용과 물가를 주요 지표로 내세웠는데, 전문가들은 미국의 고용시장과 물가 지표는 이미 그러한 기준에 들어맞는다고 평가하고 있다.
11월 미국의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자 수는 21만1천 명으로, 고용시장 호조 기준선인 20만 명을 넘었다. 실업률은 5%로 낮아져 2009년 10월 10%의 절반까지 떨어졌다.
시간당 평균 임금도 11월 들어 지난해 동기 대비 2.3% 올랐다. 임금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의 근거가 된다.
다만 금리 인상의 속도와 폭은 '느리고 점진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경험에 비쳐 글로벌 금융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옐런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은 첫 기준금리 인상 이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속도가 점진적일 것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미국 금리 인상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는 나라들은 바로 신흥국이다. 지난 2013년 5월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이 통화정책의 긴축을 시사한 것만으로도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기도 했다. 특히 과도한 부채를 쌓아온 신흥국들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면서 글로벌 위기설도 나온다.
중국 등 세계 경기둔화 조짐,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 유로존과의 통화정책 차별화에 따른 달러 강세 심화 등도 금리 인상이 몰고 올 충격을 가늠하기 어렵게 하는 대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