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결선투표제 갈등 재점화
새누리당이 우여곡절 끝에 공천 기구를 출범시켰으나 결선투표제 등 세부 공천 룰을 두고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 간 다툼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양측은 국민참여비율 상향, 컷오프, 우선추천지역 등을 두고 해석을 달리하며 양보 없는 일전을 치를 태세다. 8일 새누리당에선 전날 최고위회의에서 의결한 결선투표제를 두고 이런 조짐이 시작됐다.
공천특별기구 위원장에 선임된 황진하 사무총장은 이날 한 라디오에서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면 최초 경선에서 탈락된 분들이 이합집산 현상을 보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김태호 최고위원이 1위 후보자가 과반 득표를 못할 경우 결선투표를 하자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김 최고위원이 개인적 의견을 낼 수는 있지만 당헌'당규에도 없고 특별기구에서 얼마나 공감을 얻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결선투표제'는 김무성 대표가 밀었던 황 사무총장이 특별기구 위원장에 선임되는 반대급부로 친박계가 내놓은 안이다. 황 총장의 발언은 친박계 의도대로 이끌려 가지 않겠다며 던진 견제구로 해석됐다.
비박계 정병국 의원도 "한 후보가 과반 득표를 하거나 후보자 간 득표 차가 현격할 경우에도 결선투표를 하자는 것은 어떤 의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가세했다. 그러자 친박계는 김무성 대표와 비박계가 상향식 공천을 강화하기 위해 국민참여비율을 70%까지 올리려는 데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김재원 의원은 라디오에서 "당원과 국민의 참여비율을 50대 50으로 정한 것은 오랫동안 숙의해서 정한 것"이라면서 "지금 와서 당원 참여비율을 줄이자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공천특별기구 구성을 놓고도 비박계를 중심으로 한 당권파는 앞으로 공천특별기구를 기존에 구성했던 '국민공천제 TF' 위원을 중심으로 위촉하자는 방침인 반면, 친박계는 기존의 TF에 김 대표와 가까운 인사가 다수 포진했다고 판단하고 친박-비박 동수로 새판을 짜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장애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의 의회 진출을 보장하고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당헌'당규상의 '우선추천지역'을 두고도 양 계파는 맞서 있다.
친박계는 서울 강남, 대구경북 등 새누리당 강세지역에도 우선추천지역 제도를 예외 없이 적용하자는 입장이지만, 비박계는 누구를 후보로 내도 이길 수 있는 강세지역에 우선추천지역을 적용하면 묻지마식 물갈이로 악용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비박계인 정두언 의원은 "청와대나 정부 고위직들이 국회의원을 하려면 야당을 밀어내고 해야지 왜 여당 의원을 밀어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편한 데 가려는 것이 다 꼼수"라며 "쉽게 당선되겠다는 것은 당이나 대통령한테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