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발표 이후 7일 연속 하락…외국인들 13일 연속 순매도
DGB금융지주의 주가가 곤두박질치고 있다. 지난 6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7일 연속 하락세다. 지난 5일 1만1천원대였던 주가가 16일 종가 기준으로 1만250원까지 떨어졌다.
이 기간 동안 1천200여억원이 날아갔다. 앞서 DGB금융지주는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679억원으로 전기에 비해 44.5%나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외국인이 하락을 주도했다. 이 기간 동안 외국인들은 13일 연속 순매도했다. 매도 주수는 105만여 주, 금액으로는 100억원이 넘는다. 이로써 70.74%에 달하던 외국인 보유 비율이 70.12 %로 떨어졌다. 기관 등이 방어에 나섰지만 하락을 막을 수는 없었다.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감도 남아 있다. 이미 지난해 9월 1만7천450원에 달했던 주가는 1년 사이 70%가량 떨어졌다. 유상증자 발표, 실적 부실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다.
앞으로도 대손충당금 증가, DGB생명에 대한 1천억원의 금전 대여 등 악재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실제 대구은행은 올 들어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크게 늘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늘었다는 것은 부실 대출이 새로 발생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천474억원으로 지방은행 중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은행 1천145억원, 경남은행 972억원, 전북은행 529억원 순이었다.
DGB생명에 대한 1천억원의 금전 대여 결정도 주주들에게는 부담이다. 운영자금 지원 명목으로 대여를 결정했으나 지난해 인수를 위한 유상증자 등으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DGB금융지주가 캄보디아 프놈펜 상업은행 매각 관련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가 유상증자 공포까지 엄습하고 있다.
지역의 한 회계사는 "올 초 DGB생명 인수로 대구은행이 많은 출혈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상업성이 확인 안 된 외국은행 인수에 나서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