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우리 집 보물전'의 두 번째 전시로 '임진왜란과 경주의 의병 김씨 사부자'를 17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연다.
'우리 집 보물전'은 시민들의 참여형 전시이며, 경주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집안이나 개인이 지니고 있는 소중한 물건을 소개하는 작은 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400여 년 전 경주시 양북면 두산리에 살았던 문옹 김석견(文翁 金石堅'1546~1614) 선생과 세 아들의 사부자 이야기가 소개된다.
문옹 선생은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47세에 두 아들과 지역의 청장년 100여 명을 이끌고 전장으로 나갔다.
처음에는 제사를 받들고 대를 이을 생각으로 둘째 아들(몽양)은 집에 남겨두었으나, 부인 윤 씨가 전쟁에 나서도록 했다. 둘째 아들은 내남면 노곡리 곽천전투에서 아버지를 대신해 창을 맞고 26세(1596년)에 전사했다. 문옹 선생은 왜란 뒤 훈련원정(訓練院正)에 임명됐으나 둘째를 잃은 슬픔에 벼슬을 사양하고, 양북면의 두산별장(斗山別莊, 현 두산서당)에 기거하며 농사를 짓고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가르치다가 69세에 생을 마감했다. 사후에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참의(兵曹參議) 벼슬이 내려졌고, 삼부자(몽양 제외)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됐다.
이번 전시에는 문옹 선생의 아비 마음, 세 아들의 효심과 함께 임란 때 애국충정과 선비정신이 깃들어 있는 유품들이 전시된다.
이영훈 국립경주박물관장은 "이처럼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우리 집 보물전'에 지역에 계신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