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수능에 영향 안 받아
2016학년도 수능시험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우선 무대의 주인공이었던 수험생들에게 그동안의 수고에 대해 '고생했습니다'라는 말을 전한다. 그러나 수능시험이 끝났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어찌 보면 이제부터가 진정한 머리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불수능'으로 일컬어지는 올해 수능시험에서 최상위권 및 상위권 학생들의 지원 전략은 또 하나의 두뇌 싸움이 될 것임이 불을 보듯 뻔하다.
먼저, 수시모집에 응시한 학생은 각 대학이 시행하는 대학별고사(논술고사 등)를 대비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각 대학의 홈페이지에는 해당 대학의 논술고사 기출 문제와 해설, 채점 기준 등 논술고사와 관련된 내용이 자세하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2016학년도 정시모집의 변수를 점검해야 한다. 최상위권 점수대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상위권 학과 및 지방 의학계열 학과들에 지원 가능한 점수대다. 수능시험이 어렵게 출제됐다 하더라도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지원하는 모집 단위는 사실상 큰 변별력을 갖지는 못할 것이다. 즉 모집 단위별로 점수 차는 크지 않을 것이다.
다만 상위권 수험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서울권 대학의 경우 입시 일자가 주로 가 군과 나 군에 많이 몰려 있어 가 군과 나 군의 대학 가운데 1개 대학은 합격 위주로 선택하고, 나머지 모집군의 대학에 소신 지원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위권 점수대에서는 수능시험 성적 반영방법, 수능시험 성적 가중치 적용 여부, 학생부 성적 및 대학별고사 등 가능한 한 모든 변수를 고려해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영역별 수능시험 표준점수와 백분위 및 등급은 수능시험 성적이 발표돼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능시험 성적이 발표될 때까지는 가채점 결과에 의한 영역별 원점수와 예상 등급을 토대로 어느 대학에 지원 가능한지를 잘 따져 보아야 한다. 이는 각 입시 업체가 발표한 참고 자료를 활용하면 된다. 아울러 수시모집에 지원한 수험생들도 수능시험 성적을 최저 학력 기준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가채점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를 대략 판단할 수가 있음도 상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