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탐구] 고1 융합형 과학 미리 예습하려면?

입력 2015-10-26 02:00:01

중3 학부모입니다. 아이가 기말고사를 끝내면 고등학교 과정을 준비시키려고 합니다. 보통 고1이 배우는 과학은 융합형 내용인데 여기에 충실해야 할지,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등 개별 과목을 따로 공부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물·화·생·지 주제별 연계성 교재 함께 보길

▶박재헌 멘토=많은 학교의 고1이 배우는 과학 과목은 그 내용이 융합과학으로 되어 있고, 수능에 출제되는 과목은 아닙니다.

중학교 과학은 6권의 교재에 각 학기마다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내용이 고르게 편성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은 고등학교에서 학습하기 위한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교 과학 교과는 그 내용이 모든 영역이 융합되어 있습니다. 교과서는 1부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생명의 탄생과 진화과정을, 2부 현대문명에 적용된 과학 기술과 인류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주제들을 '융합적' '통합적'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적잖이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더불어 그 내용이 상당한 부분 물리ⅠⅡ, 화학ⅠⅡ, 생명과학ⅠⅡ. 지구과학ⅠⅡ와 연계되어 있고 특정 단원들과는 중복된 내용이 있습니다. 그만큼 중3 학생들은 겨울방학 동안 미리 내용을 파악해두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과학 교과와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의 연계성을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고등학교 과정은 학년별로 구분하기보다는 과목별로 학년 구분 없이 과목 간, 주제별 연계성을 가지고 학습전략을 짜는 것이 유리합니다. 과학 과목은 내신 대비만을 위한 공부보다는 과학과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의 주제별 연계성을 따라 교재들을 함께 펼쳐가면서 주제를 따라 공부해보면 상당한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에 대한 예습도 되면서 대입에서 상위권 대학에서 수시 논술대비도 자연스러워집니다. 아울러 고1이 주로 배우는 과학의 커리큘럼은 학교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진학희망 예정학교의 올해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이번 겨울방학 학습전략을 짜는 것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학교에 따라서는 고1 과학 이외에 2학년 과정을 병행해서 공부하고 내신에 반영하는 학교가 다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한 것은 고등학교 과학 공부는 내신대비를 넘어 수능과 논술, 즉 성공적인 대입준비과정이라는 것입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