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카충' 모르면 당신은 '노잼'…중년들 신조어 배우기 열풍

입력 2015-10-09 01:00:06

직장인들도 필수 덕목으로

"아들아, '버카충'(버스 카드 충전)했니?"

자영업자 김모(53) 씨는 최근 자녀와의 대화가 새로워졌다. 고등학교 동창 단체 채팅방에 올라오는 '신조어'를 꾸준히 익힌 덕분이다. '버카충' 외에 김 씨가 최근 익힌 단어는 '노잼'(재미 없다), '빼박캔트'(빼도 박도 못한다) 등이다. 김 씨는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던 신조어지만 가끔 자녀들과 대화할 때 사용해 보니 아이들이 즐거워하고 소통의 벽이 사라져 더 자주 쓰려고 한다"고 말했다.

중년들의 신조어 배우기 열풍이 뜨겁다. 신조어가 쏟아지고 카카오톡, 밴드 등 SNS 활동이 활발해지자 신조어에 반감을 갖기보다는 이를 수용하고 계층 간 소통의 벽을 허물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기성세대 안에서 만들어지는 신조어도 등장하고 있다.

신조어 배우기는 직장생활의 필수 항목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 IT업계 팀장급인 최모(52) 씨는 "'따아'(따뜻한 아메리카노), '아아'(아이스 아메리카노)는 직장에서 가장 많이 쓰는 신조어"라며 "후배들과 조금 더 가까워지는 기분이 들기도 해서 몇 가지는 기억해 뒀다가 사용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한 부장급 직장인도 "가끔 회의시간에 자녀들에게 들은 용어를 써보기도 한다"며 "최근에는 회의시간에 '낄끼빠빠'(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진다)를 썼더니 딱딱한 회의가 한결 유연해진 기분이었다"고 말했다.

중년들의 SNS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어른들이 만든 신조어'까지 등장하는 추세다. '윰차'(유모차), '얼집'(어린이집), '#G'(샵지=시아버지), '셤니'(시어머니) 등은 주부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이다.

신조어가 대세로 떠오르다 보니 '독학'하는 중년들까지 등장했다. 신조어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용어 익히기에 나선 것이다. 한 고등학교 국어교사 이모(55) 씨는 "워낙 학생들이 신조어를 많이 쓰다 보니 대화에 참여할 수 없을 때가 많아 '신조어 퀴즈' 애플리케이션으로 시간이 날 때마다 익히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