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독한 시련 극복, 80억 매출 CEO…직원 30여 명 중 장애인 20여 명
그는 30여 명의 고용인을 거느린 성공한 사업가이다. 몇 개나 되는 사회법인을 설립한 NGO(비영리사회단체) 대표이다. 소외계층의 복지를 위해 목소리를 내는 사회운동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는 휠체어 없이는 단 한 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는 3급 지체 장애인이다.
"모든 인간은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권리를 지닌다고 하죠. 그 당연한 말을 얻어내기까지 얼마나 힘든 길을 지나왔는지요. 이 땅에는 저처럼 당연한 권리를 얻지 못해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장재권(63) 경북장애인권익협회장은 3살 때 두 다리의 자유를 잃었다. 심한 고열과 함께 갑작스레 찾아온 소아마비는 막 걸음마를 뗀 그에게서 아예 걸음을 앗아갔다. 그러나 목발을 짚어가며 일반 학생들의 몇 배나 되는 시간을 투자해 학교에 다니고, 다른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놀 때는 혼자 남아 공부에 몰입했다. 다른 장애인들이 자신의 처지를 비관할 시간에 더 큰 노력으로 장애를 뛰어넘으려 노력했다.
학업을 마치고 장 회장은 1989년 친형과 함께 장우산전이라는 전기 배전반 제조회사를 설립했다. 서서히 회사가 자리를 잡고 이익을 얻어낼 무렵 운명은 그에게 또 한 번 시련을 건넸다. 1998년 IMF로 인해 경영이 어려워지며 결국 회사가 문을 닫게 됐다. 8년간 쏟았던 열정이 한 번에 무너지고 이후 2년여간 이어진 재기를 위한 방황은 학교에 다니던 어린 시절만큼 혹독하고 시렸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옛 동료들과 함께 2000년 3월 ㈜장우를 새롭게 열었다. 총 30여 명의 근로자 중 20여 명이 장애인으로 구성된 사업장이었다. 지역 업체들의 난립과 심한 경쟁 속에서도 그는 성실함을 무기로 고객들의 신뢰를 얻어갔다. 그 결과 ㈜장우는 현재 포스코 등 대기업에 배전반을 납품하는 연매출 80억원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누구에게나 고난은 있습니다. 처음에는 세상의 편견에 울분이 쏟아진 적도 많았죠. 그러나 장애를 마땅히 극복해야 할 인생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인 순간, 살아갈 희망이 생기더군요."
회사가 기틀을 잡으며 장 회장은 자신과 같은 장애인들을 위한 사회 복지 사업에 눈을 돌렸다. 경북지체장애인협회장, 경북장애인체육단장 등 그가 거쳐 갔던 직책은 셀 수가 없을 정도다. 특히, 경북 23개 시'군지역 지체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지체장애인여성자립지원센터 등은 장 회장의 노력이 깃든 결과물이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그는 2006년 국민훈장 석류장을 수훈하기도 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장 회장은 지난해 8월 경북장애인권익협회를 창립하며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다. 불편한 몸이라도 자신이 직접 움직일 수 있는 한 동료 장애인들을 위한 권익 찾기에 나서고 싶다는 소망에서다.
"복지는 없는 사람에게 떡고물을 던져주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이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찾아주는 일입니다.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기본적인 뒷받침을 통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바로 제 꿈입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