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 부족 국가 위험 경고 비웃는 수돗물 누수

입력 2015-09-17 01:00:05

경북 도내 각 가정의 수도꼭지에 도달하기 전에 줄줄 새버린 수돗물의 양이 2억3천여t에 이른다고 한다. 자그마치 대구 수성못 300여 개가 담고 있는 물의 양과 같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1천377억원을 웃돈다. 지역이 넓고 수도관이 낡은 경북도의 수돗물 누수량은 4년 만에 4배나 늘어났다.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도 가장 심각하다.

지난해 경북도의 누수율은 30%에 육박했다. 따라서 노후 수도관 교체 및 상수도 관리 개선으로 건강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뭔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그 중의 한 방안이 한국수자원공사(K-water)에 위탁하는 것이다.

실제 경북 도내 3개 군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22개 지자체가 K-water와 계약을 체결해 지방상수도 관리를 맡긴다. 그 결과 평균 60.6% 수준이었던 해당 지자체의 유수율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82% 선으로 대폭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지난 2005년 K-water에 지방상수도 관리를 위탁한 예천군은 노후관 교체공사와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등을 도입한 뒤 유수율이 30%p나 개선되었다. 고령군도 2006년 48%였던 유수율이 지난해는 80%에 이른 가운데 K-water가 내놓은 새로운 지방상수도 물관리 모델인 'SWM' 시스템 적용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 위탁사업에 뛰어든 봉화군도 노후관 교체공사에 착수하면서 수돗물 관리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K-water 상수도 위탁관리에 대한 저항도 만만찮다. 지자체로서는 상수도 관리 업무를 담당하던 공무원 수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초기 투자비용에 따른 수돗물 값 인상은 곧바로 주민의 부담이 된다. 같은 이유로 시군의회에서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갈수록 늘어나는 수돗물 누수를 고려할 때 상수도 관리 개선은 조만간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그러나 정부의 의지 부족과 열악한 지방 재정이 걸림돌이다. 상수도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수돗물 생산 효율화를 위한 지자체의 혁신 의지가 필수적이다. 장기적인 물 부족 국가 위험만 경고할 것이 아니라 새는 물부터 막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