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의 수난사/ 베스 러브조이 지음, 장호연 옮김/ 뮤진트리 펴냄
'부관참시'는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자르는 형벌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 죽은 뒤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내린 형벌이다. 죽은 당사자는 아무런 고통도 느끼지 못하겠지만, 그의 명예는 처참히 훼손당한다. 후대에 다른 역사적 평가가 내려지는 일이 혹시나 있기 전까지는, 회복할 수 없다.
부관참시 같은 일이 우리나라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부관참시는 형벌이기도 했지만, 당대의 권력자가 정치적 정당성을 얻기 위해 벌인 것이 본질이다. 조선의 왕 연산군은 아버지 성종 시절 친엄마 폐비 윤씨 폐위에 가담했던 한명회의 관을 쪼개 머리를 베어 저잣거리에 내걸었고, 어머니를 제헌왕후로 추존했다. 러시아 혁명가 레닌은 죽은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어머니와 여동생의 묘 곁에 묻히길 원했지만, 스탈린은 그의 시신을 미라로 만들어 모스크바 광장에 공산주의 선전물로 전시했다. 반대로 정치적 이용을 막은 사례도 있다. 테러 집단 '알카에다'를 이끈 오사마 빈라덴의 시신은 저격당한 지 하루 만에 북아라비아해에 수장됐다. 무덤을 만들 경우 추종자들이 몰려 추모 분위기가 일까 우려한 미국의 결정이었다.
이 밖에도 책은 '죽어서도 편히 잠들지 못한 유명한 위인들'의 다양한 사례를 다룬다. 음악가 하이든의 두개골은 그의 음악적 능력을 골상학적으로 분석해보겠다는 무리에 의해 도굴당해 100년 넘게 자기 몸을 못 만났다. 평소 나폴레옹에게 구박을 받은 한 의사는 나폴레옹 사후 부검을 맡아 앙갚음으로 나폴레옹의 음경을 훔쳤다. 게티즈버그 연설로 유명하며 최초로 암살당한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은 절도 침입을 피해 관이 16차례나 옮겨지는 등 오싹한 인기(?)를 사후에 누렸다. 392쪽, 1만8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