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자체와 정치권이 합심해 원자력해체센터 유치 나서야

입력 2015-07-24 01:00:00

경북도의 원자력해체기술산업종합연구센터(원해연) 유치전에 부산이 울산과 공동전선을 구축했다. 원전 최다 집적지인 경북도와 국내 첫 폐로 원전인 고리 1호기를 둔 부산'울산 연합세력이 맞붙은 양상이다. 경북도는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 23기 중 절반가량인 11기가 있을 만큼 전국 최대의 원자력 집적지역인데다 기피시설인 방폐장까지 들어서 있지만, 부가가치가 있는 산업'연구기관은 전무하다는 점을 내세워왔다.

국내 유일의 중수로'경수로 동시 보유 지역에다 한수원'한국원자력환경공단'한국전력기술 등 원자력 관련 핵심기관이 있는 곳이어서 경북보다 더 최적지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원자력시설 해체는 정부와 지자체 주도 아래 원전해체 관련 공기업 간 체계적인 협력을 통해 추진해야 하는 국책사업이다. 따라서 원전 핵심기관과 해체 필수기관이 모두 있는 경북에 원해연이 와야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원전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90%가량이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인데, 경주 방폐장과의 연계성 측면에서도 원해연이 경주에 와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이에 대해 부산은 최근 폐쇄 결정이 난 고리 1호기와 주변 연구환경을 내세워 원해연 유치에 적극 나서는 한편 관련 산업인프라를 갖춘 울산시와 손을 잡고 지역 간 협력관계라는 모양새도 갖췄다. 여기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부산'울산'경남 지역 정치권까지 지원사격에 나서고 있어 '제2의 남부권 신공항 혈투'라는 비유가 나온다.

원전 해체산업은 지역에 신성장 동력을 가져올 원자력 산업의 블루오션이다. 반면, 경북은 그동안 국가 에너지 정책에 적극적으로 순응하고도 상대적 박탈감으로 민심이 이반된 상태다. 원해연이 경북으로 와야 할 당위성이다. 그러나 아무리 최적지여도 유치를 위한 노력은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경북도는 물론, 지역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는 단결력을 보여야 한다. 조건과 명분을 모두 갖추고도 이를 놓친다면 경북도와 정치권 모두 직무유기라는 비난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