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오후 1시 30분쯤 헌혈 체험을 위해 헌혈의 집 중앙로센터를 찾았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마치 조용한 카페 혹은 대학교 학생회관 같은 분위기였다. 마침 안쪽 소파에 헌혈을 마친 김진성(21'계명대 간호학과 1학년 휴학) 씨가 앉아 음료를 마시고 있었다. 은행에서처럼 순번대기표를 뽑고 김 씨 곁에 가서 앉았다. 소파 왼쪽 벽면에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만화책이 책장에 가득했다. 그 옆으로는 안이 들여다보이는 음료 냉장고가 있는데, 헌혈 전'후 수분 보충을 위해 마음껏 꺼내 마실 수 있다. 긴장감 해소를 위해 김 씨에게 말을 걸었다.
김 씨는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헌혈을 권장했었고, 대학에서 간호학을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레 헌혈에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됐다"며 "중앙로센터나 2'28기념중앙공원센터는 접근성이 좋아 볼일이 있어 동성로에 나올 때면 일부러 찾아온다"고 했다.
음료를 홀짝이며 김 씨와 대화하던 중 한 간호사가 다가와 "컴퓨터에 앉아 전자문진부터 하시면 됩니다"라고 일러줬다. 과거에는 문진카드를 작성했지만 이제는 전자문진용 컴퓨터 앞에 앉아 마우스로 10개 문항만 체크하면 되도록 간편해졌다. 강귀분 헌혈의 집 중앙로센터장은 "여분의 문진카드를 보유하고 있다. 전자문진 하시는 분이 많을 때는 대기하시는 분들에게 문진카드를 드린다"고 말했다.
전자문진과 간호사 상담이 끝난 뒤 헌혈을 위해 침상에 누웠다. 혹시 헌혈에 사용하는 바늘이 재사용된다거나 위험하지나 않을까 염려했지만 기우였다. 간호사는 포장지에서 새 제품을 뜯어서 혈관에 꽂았다. 매번 새 제품을 사용하고 한 번 사용한 바늘은 버린다고 했다.
바늘이 혈관에 꽂히고 5분 남짓 흘렀을까? 대학생 커플이 손잡고 중앙로센터에 들어왔다. 중앙로센터의 한 간호사는 "평일은 4시 이후에 헌혈자가 가장 많이 몰리는데 주로 학생층"이라며 "토요일은 오전부터 계속 바쁜 편이고 연령대도 다양하다"고 했다.
이곳의 간호사들은 고충이 없을까? 강 센터장은 "병원도 당연히 친절해야 하지만 병원은 일단 환자가 아파서 찾아오는 곳이다. 반면에 이곳은 내가 가진 것을 나눠 주러 오는 곳이기에 간호사들이 더 친절해야 한다. 그런데 간호사들이 기분 나쁘게 할 의도가 아니었는데도 받아들이는 쪽에서 기분 나쁘다고 민원을 제기하면 기운이 빠지기도 한다"고 했다.
취재를 위해 만난 정향숙 헌혈의 집 2'28기념중앙공원센터장도 "헌혈하고 싶어하는 마음은 아름답지만 헌혈을 할 수 없는데도 하겠다고 우기거나, 고등학생인 딸이 헌혈 후에 어지럼증을 느낀다고 찾아와 항의하시는 분들을 달래는 게 보통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헌혈을 마치고 휴식과 수분 섭취를 위해 소파에 앉았다. 어지럽다거나 하는 증상은 없었다. 괜히 긴장했었나? 좋은 일을 했다는 뿌듯함이 밀려왔다. 간호사에게 다음 헌혈은 언제 가능한지 물었다. 또 하고 싶은 마음에. 전혈헌혈을 했기 때문에 2개월 후에 가능하단다. '2주 후에 다시 헌혈이 가능한 성분헌혈을 할걸'이라는 후회가 생겼다.
홍준표 기자 agape1107@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