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 없이 확실한 통제 약속
정부는 7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했거나 환자들이 경유해 간 병원의 실명을 공개했다.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회견을 갖고 24곳의 병원 명단을 발표했다.
발표문에 따르면 확진 환자가 발생한 병원은 평택성모병원(경기 평택), 삼성서울병원(서울 강남구), 365서울열린의원(서울 강동구), 아산서울의원(충남 아산시), 대청병원(대전 서구), 건양대병원(대전 서구) 등 6곳이다.
또 확진 환자가 경유한 병원은 ▷서울아산병원(서울 송파구) ▷여의도성모병원(서울 영등포구) ▷성모가정의학과의원(서울 성동구) ▷하나로의원(서울 중구) ▷윤창옥 내과의원(서울 중구) ▷평택굿모닝병원 ▷평택푸른의원 ▷365연합의원 ▷박애병원 ▷연세허브가정의학과(이상 경기 평택) ▷한림대동탄성심병원(경기 화성) ▷가톨릭성빈센트병원(경기 수원) ▷메디홀스의원(경기 부천 괴안동) ▷가톨릭대부천성모병원(경기 부천) ▷오산한국병원(경기 오산) ▷단국대의대부속병원(충남 천안) ▷삼육오연합의원(충남 보령) ▷최선영내과의원(전북 순창) 등 18곳이다.
최 총리대행은 "국민안전 확보 차원에서 공개한다. 감염이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병원에 대한 강력한 통제가 불가피하게 됐다"며 병원 명단 공개 배경을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메르스는 모두 의료기관에서 감염된 사례들로 지역사회에는 전파되지 않고 있어 확실한 통제가 가능하다"며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최 총리대행은 경유 병원을 함께 발표한 것과 관련, "확진 환자들의 이동 경로를 정부가 정확히 파악하고 있고, 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리기 위함"이라고 했다.
그는 또 "환자가 단순히 경유한 18개 의료기관은 감염 우려가 사실상 없는 병원"이라고 말했다.
환자들이 다녀간 병원 18곳에서는 아직 3, 4차 감염자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영등포구 여의도성모병원, 수원 가톨릭성빈센트병원 등엔 환자가 응급실에 다녀갔고 서울 중구 하나로의원, 윤창옥내과의원, 부천 메디홀스의원, 순창 최선영내과의원 등에서는 환자들이 외래 진료를 받았다.
실제로 이들 병원 가운데 일부는 최장 잠복 기간을 지나도록 환자가 발생하지 않아 추가 감염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진 상태지만 상당수는 아직 잠복 기간이 다 끝나지 않은 상태다.
감염 이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최대 잠복기가 14일인 점을 고려한다면 산술적으로 지난달 24일 이후 메르스에 노출된 곳에서는 여전히 환자 발생 가능성이 남아있는 셈이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