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가계대출 '57조'…주택담보대출 원인, 전년比 17.7%↑

입력 2015-05-28 05:10:4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경북 가계대출이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이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가계부채 위험도 점점 커지고 있다.

27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57조6천억으로 전년대비 8조7천억원(17.7%)이나 증가했다. 서울(220조'6.7%), 인천경기(228조9천억'6.3%)를 비롯해 전국평균(745조8천억'8.5%)에 비해 두 배 이상 가파른 증가세다.

가구당 평균 대출 금액 역시 지난해 4천279만원으로 2011년(3천295만원)에 비해 1천만원 가까이 더 빌린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대출 급증은 주택담보대출의 증가가 주요 원인이었다.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은 6조1천억원이나 늘어나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의 70.6%를 차지, 2008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58.4%로 전년대비 2.1%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나쁘지 않았다. 가구당 평균 대출규모(4천279만원)는 전국평균(5천909만원)에 비해 적었고 지급이자 역시 가구당 199만4천원으로 전국(273만원)보다 적었다. 채무부담능력도 양호한 수준이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111.7%로 전국평균(138.0%)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가계 자산에서 실물자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주택담보대출의 변동금리 비중(64.9%)이 여전히 높아 주택가격이 하락하거나 금리가 상승으로 반전할 경우 상환부담이 늘어나 부채상환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창희 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