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은 첫 직장에서 평균 2.7년간 근무한 뒤 이직하며, 시기는 여성이 남성보다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755명을 대상으로 '첫 이직 시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2.7년 차 때로 나타났다.
첫 직장 입사 후 '1년 차'(24.6%)-'2년 차'(19.2%)-'6개월 이하'(18%)-'3년 차'(12.7%)-'4년 차'(6.9%) 순이었다. 여성은 평균 1.8년으로 남성(3.2년)보다 일찍 이직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직한 이유로는 '회사의 비전이 없어서'(32.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연봉이 불만족스러워서'(32.3%), '잦은 야근 등 근무환경이 열악해서'(24.5%). '복리후생이 불만족스러워서'(21.3%), '일에 대한 성취감이 낮아서'(20.9%) 등이 뒤를 이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