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 징용시설 세계유산 등재 막는데 장관직 걸어라

입력 2015-05-06 05: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조선인 5만7천900명이 징용돼 강제 노역했던 일본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이 유력해졌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일본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도록 유네스코에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은 정부가 추천한 문화유산 중 ICOMOS가 권고했다가 최종 단계에서 뒤집힌 사례는 없다고 덧붙였다. 6월 말 독일에서 열리는 제39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만 사실상 결정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식이다.

일본이 신청한 일본 근대화 산업시설이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명확하다. 일본이 신청한 시설 가운데는 과거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 징용돼 94명은 숨지고 5명은 행방불명된 7개 시설이 포함돼 있다.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동의 한이 서린 곳이라는 역사적 진실은 외면하고 근대화 산업시설로 미화했다.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 협약의 기본 정신에 명백히 위배되는 일이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 유산 등재를 저지하는데 장관직을 걸어야 한다. 일본은 이미 지난 2012년부터 징용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시도해 왔다. 그럼에도 우리 외교부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가 뒤통수를 맞은 셈이다. 외교부는 일찍부터 다양한 채널과 여러 수준에서 등재 추진 재고를 촉구했다지만 드러난 결과는 이와 다른 소리를 내고 있다.

윤 장관은 외교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올 때마다 '과도한 해석'이니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수사를 들이댔다. 그렇지만 속속 모습을 드러내는 외교 결과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윤 장관은 아직도 "우리 입장을 전방위적으로 강하게 설득해 나가겠다"고 한다. 국민은 '장관직을 걸고 막겠다'는 각오가 더 듣고 싶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