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40여 명이 자살하는 나라가 있다. 우리나라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 자살률이 1위다. 그것도 8년 연속 1위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평균 자살률보다 2.6배나 높다. 또한 20대 전체 사망자 중 절반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고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화려한 경제성장에 가려진 짙은 그늘이다.
보통 경제적인 손실을 보거나, 우울증을 겪거나, 인간관계에서 깊은 절망감을 느낄 때 사람들은 자살을 생각한다고 한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람들은 가족이나 친구, 직장, 공동체 등의 인간관계 속에서 삶의 가치를 느끼는데, 의미 있는 사람들로부터 관계가 단절되었을 때 얻는 치명적인 절망감이나 공허감이 자살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자아 강도, 즉 마음의 힘이 약한 사람은 위기에 더 민감하다. 우울증의 자아 강도가 만일 1㎏이라면, 그것이 깊어질 경우 10㎏ 이상으로 느껴진다고 한다. 그러니 자아 강도가 약한 사람이 무게감을 느꼈을 때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나 절망감에 빠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상담실은 어떻게 보면 부끄러움을 보여주는 비밀스런 장소다. 그렇기에 비밀이 보장된다. 세상을 향해 화가 난 사람이 화를 마구 퍼부을 수 있는 곳도, 개인적인 온갖 하소연을 쏟아 낼 수 있는 곳도 바로 상담실이다. 그래서 상담실은 마음의 찌꺼기를 받아내는 곳이다. 병원에서 청진기로 진찰도 하지만 환자의 배설물을 통해 그 사람의 병의 원인과 치료방법을 찾듯이, 상담자들도 내담자들이 뱉어내는 말, 즉 그 배설물을 통해 말할 수 없이 많은 뭔가를 얻는다.
내담자는 속에 꽉 차 있는 것을 쏟아내며 후련함을 느끼고, 상담자도 자신을 키울 수 있는 밑거름을 얻는 것이다. 그래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상부상조의 관계이며, 상담은 동반상승의 기회다. 상담자가 큰 나무로 자라야 그늘을 드리울 수 있고, 내담자가 그 그늘에서 잠시 쉴 수 있는 것이다. 아무리 주고 싶어도 내가 크지 않으면 줄 그늘이 없어지게 된다. 내가 주기 싫어도 크게 자라면 자연히 그늘을 드리우게 되는 것처럼, 면벽하고 앉아 중얼거려도 뱉고 나면 속이 시원한 것처럼, 들어만 줘도 내담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내담자는 묻고 또 스스로 답을 이야기한다. 사실 그 답을 아는 사람은 자신뿐이다. 자신의 문제는 자신이 더 잘 알기 때문이다. 상담실은 내가 모르는 세상의 장을 펼쳐보는 책장이다.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넓은 그늘을 가진 사람에게 알게 모르게 도움을 받는다. 누구에게나 넓은 그늘을 줄 수 있는 봉사자가 되기 위해서는 책으로 간접 경험을 하든 실제로 경험을 하든 영양분을 많이 섭취하고, 그 지경을 넓히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인·대구생명의전화 지도상담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