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돌며 소통의 장 마련
2012년 말 대구의 한 중학교. 중학생 5명이 둘러앉은 탁자에 '사람책'으로 나선 한 기자가 자신의 삶 이야기를 털어놨다. 가부장적 집안에서 딸로 태어나 '넌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어', '딸은 쓸모없어' 등 집에서 갖은 시련을 겪었고, 결국 소수자의 아픔을 대변하는 기자가 될 수 있었다고 했다. 이야기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야기를 듣던 한 학생이 자리에서 갑자기 눈물을 쏟았다. 그 학생은 "나도 가정불화로 힘들었던 경험이 있는데 내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을 만난 건 오늘이 처음이다. 앞으로 힘든 순간이 오면 좌절하지 않고 성장하는 기회로 만들어보겠다"고 했다.
책 대신 특정인의 살아온 삶을 이야기 해주는 '사람도서관'을 운영하는 박성익(31) 대표.
주로 중'고등학교를 찾아다니며 5명 안팎의 청소년들에게 서로 속 깊은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준다. 2011년 4월 사람도서관을 만들어 지금껏 115명의 사람책과 2천 명에 달하는 청소년을 만났다.
박 대표는 "청소년기는 성숙하지 않은 시기인 만큼, 그들 안에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가능성이 있다.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만으로도 힘든 시기를 극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청소년을 위한 봉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박 대표에게 든든한 후원자가 생겼다.
공익단체인 대구시민센터가 지역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사회 혁신가에 박 대표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사회혁신사업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한 시민들을 혁신가로 선정, 지원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프로그램. 박 대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해 청소년 문제 해결을 시도한 점을 인정받았다.
사회 혁신가에게는 시민들이 모은 기부금으로 마련한 재원으로 매달 일정 활동비가 지급된다. 또 지역 학계나 시민단체 등과의 정기적인 토론회나 전문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혁신가의 개인적 역량을 높이는데도 집중할 계획이다.
김영철 대구시민센터 이사장은 "매년 한두 명의 사회 혁신가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라며 "우리 지역의 더 많은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 혁신가가 발굴돼 시민이 지역 사회를 바꿀 수 있는 기반이 확산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허현정 기자 hhj224@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