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 끝에 찾은 삶의 이정표, 당신은 찾았습니까?…『와튼스쿨 인생학 강의』

입력 2015-03-21 05:00:00

와튼스쿨 인생학 강의/G.리처드 셸 지음/안기순 옮김

"성공한 인생이란 무엇인가?"

세계 최고의 경영대학원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경영대학원인 와튼스쿨에서 10년째 인기를 끌고 있는 '인생학: 윤리와 역사적 관점들' 강좌를 듣는 학생들이 학기 초마다 직면하는 질문이다. 여기에 답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이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지' 스스로 원하는 바를 찾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간단한 질문이지만 해답은 그리 간단치 않다. 그래서 리처드 셸 교수는 여섯 종류의 삶을 소개하고 그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고르는 연습을 시킨다.

첫째는 능력 있는 고등학교 교사, 둘째 장애가 있는 딸을 키우는 은행가, 셋째 영향력 있는 정치가들의 경제 자문을 담당한 부유한 투자가, 넷째 평생 자기 일에 신념을 갖고 종사해온 가난한 석공, 다섯째 사회적으로 좋은 일을 하는 프로 테니스 선수, 여섯째 소외된 이들을 돕는 비영리 단체 중역. 모두 서로 다른 직군에 근무하며, 사회적 지위와 가족 구성원, 경제적 수입과 지출, 삶의 지향점 등이 다른 삶이다.

자신이 원하는 삶을 골랐는가? 이 연습에서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난다. 종류를 막론하고 모든 삶이 응답하는 사람에 따라 '가장 성공한 삶'이나 '가장 성공하지 못한 삶'이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는 점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앞의 여섯 종류의 삶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그중에서 자신의 자녀가 어떤 삶을 살기 원하는지 선택하라고 하면 자신의 삶을 대입했을 때와 다른 선택을 한다는 것이다. 이는 스스로 이상적이라 고 생각하는 성공적인 삶과 실제의 삶이 어떤 괴리를 보이는지 분석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성공'을 다룬 기존의 책들과는 상당히 다르다. 저자는 출세를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는 기업가도, 언론에서 활약하는 유명인사도 아니며, 더욱이 직접 만든 시스템을 적용해 성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동기부여 전문가도 아니다. 그는 지금 성공을 보장해 주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반드시 찾아야 하고, 죽기를 각오하고 시도해야 할 만큼 '유일하게 진실한 목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성공의 근본적 요소는 이미 우리 안에 숨어 있고, 다음에 달성하려는 커다란 목표는 팔을 뻗으면 닿을 거리에 있다고 주장한다. 단, 목표를 볼 만큼 정신이 맑다면 말이다.

와튼스쿨 교수, 협상'설득'대인 관계분야 전문가, 미 해군 특수전부대와 FBI 인질협상 요원 및 구글 등 대기업 중역을 대상으로 한 명강사라는 타이틀만으로는 저자와 이 책을 이해하긴 어렵다. 저자 리처드 셸은 20대 대부분을 직업 없이 보내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확신하지 못한 방랑아였다. 부친이 해병대 장군으로 전역한 군인 집안의 아들로 태어나 군사장학금으로 대학을 다녔지만, 베트남전 반전운동을 계기로 삶이 크게 달라졌다. 사회복지사, 파트타임 페인트공, 부동산 판매원 등을 전전하다, 달랑 3천달러를 손에 쥔 채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각지로 여행을 떠났다. 방황의 밑바닥에서 비로소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게 된 그는 우리나라 송광사 구산 스님 밑에서 수양하기도 했다. 불교 귀의와 귀향을 고민하다 미국으로 돌아가 법률공부를 시작했고, 37세에 학자의 길로 들어섰다.

리처드 셸의 수업은 태어난 환경, 가족의 영향, 속한 계급과 문화에 따라서 개인마다 서로 다르게 정의하는 행복의 개념과 성공을 내용을 각자 명확하게 규정하도록 돕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잡아주는 '뿌리' 교육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디세이 시기'(=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찾기 시작하는 시기)를 겪으며 방랑하는 20, 30대뿐만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몰라 막막함이 밀려오고, 꿈을 향해 나아가기에는 왠지 늦은 것 같고, 이대로 꿈을 포기하기에는 안타깝고 서러워지는 사추기(思秋期)에 접어든 40, 50대 그 누구라도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면 일독을 권하고 싶다. 480쪽, 1만6천500원.

석민 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