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부권 신공항 입지조사 용역에 대승적 동참을

입력 2014-11-27 11:20:1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남부권 신공항 건설을 위한 첫 걸음인 입지타당성조사 용역발주가 영남지역 5개 시도간 합의가 늦어지는 바람에 불투명한 시계(視界)속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대구'경북'경남'울산'부산 등 5개 시도는 밀양 하남과 부산 가덕도로 갈라진 남부권 신공항 유치전이 지나친 지역간 갈등 구조로 번지지 않도록 합의를 한다는데는 공동보조를 취했으나 막상 입지타당성 조사 용역 내용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서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핵심 내용은 신공항의 규모이다. 대구'경북'경남'울산 등 4개 시도는 광역경제권에 걸맞게 활주로 2본 이상의 통합 신공항을 건설해야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반면 부산은 기존 김해공항을 그대로 둔체 활주로 1본 짜리 신공항을 지어야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수도권 초집중으로 지방의 몰락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부권 신공항은 1500만 남부권 주민들에게 국제로 통하는 하늘길을 열어줌으로써 새로운 기회와 고용을 창출할 수 있고 무엇보다 수도권에 맞설 수 있는 남부권 경제권 활성화에 직결된다. 그래서 대구시의 경우 대구공항을 국제화하는데 전력투구하는 것보다 모든 것이 불리한데도 불구하고, 경남 밀양 하남들을 남부권 신공항 적지로 밀고 있다. 수도권에 맞설 남부권 전체를 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사실 대구는 남부권 신공항이 생기고, K2 군부대가 타지로 옮겨가면 동구에 개발 호기를 맞는 것과는 달리 대다수 주민들은 굉장히 불편해지고, 불리해지는 일들이 많아진다. 대구 공항의 경우 군부대인 K2 시설이 95%이고, 기껏 5% 내외에 해당하는 활주로만 민간 소유이다. 더구나 K2가 군부대이전특별법에 따라 언젠가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이전할 경우 그 땅을 팔지 않을 수 없어서 대구공항의 존치는 힘들게 될 수 있다. 그럴 경우 대구 미래비전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위험까지 감수하면 남부권 신공항을 밀고 있다.

이는 대승적 차원에서 서울'수도권에 맞설 수 있는 남부권 경제권 활성화를 위해서이다. 대구보다 여러모로 유리한 부산의 조건없는 용역 수용에 대한 결단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