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경찰서 이전 부지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가열되고 있다. 구미경찰서의 새 청사 이전 부지가 구미 신평동의 옛 금오공대 캠퍼스 부지로 결정 난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시민들이 훨씬 많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서다. 최근 구미시민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우선 대다수 응답자가 구미경찰서 이전 결정 과정에서 시민의견을 제대로 수렴한 적이 없다며, 시민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따라서 경찰서 이전 결정 절차가 잘못되었으니, 이전지를 옛 금오공대 캠퍼스에서 신평동 양지공원 뒷동산으로 재이전하는 것에 찬성한 사람이 60%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옛 금오공대 캠퍼스를 최적의 기술개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라는 답이 많았다. 지역 대학과 경제계 및 시민단체 대표들은 이 같은 여론조사 내용을 근거로 경찰서 재이전 논의에 불을 붙이는 형국이다.
5천억 원 규모의 국책사업에 따라 대구경북의 R&D 거점으로 개발 중인 옛 금오공대 부지에 경찰서 이전은 맞지 않다며, 사회적 합의가 도출된 여론조사 결과를 수용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구미경찰서도 할 말이 없지 않다. 지난 9월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유지인 옛 금오공대 운동장 부지 1만 2천여㎡의 사용 승인을 받아 2018년까지 이전하기로 결정된 사안을 왜 새삼스럽게 번복하고 반대 여론전까지 벌이느냐며 언짢은 표정이다.
문제는 금오공대 옛 신평동 캠퍼스 운동장이다. 금오공대는 운동장 없는 경북산학융합지구가 있을 수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이는 반면, 구미경찰서는 소유권 이전등기까지 마친 운동장을 이제 와서 내놓으라는 게 말이 되느냐고 각을 세운다. 여기에다 이전 예정 지역 주민들은 경찰서 유치운동까지 벌이고 나서 문제의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그러니 알 만한 사람들은 이쪽저쪽 눈치를 보며 말을 아끼는 분위기이다. 이래서는 꼬인 문제를 풀어나갈 수 없다. 책임 있는 기관과 지도층 인사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 구미의 발전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당사자인 대학과 경찰도 자존심을 잠시 내려놓고 지역의 내일을 걱정하는 온당한 시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대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