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남산2동 명륜지구 재개발이 '낮은 기대보상금 탓에 이주 비용 마련이 어렵다'는 일부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주춤하고 있다.
올 4월 중구청이 대구시에 정비구역 지정 신청 동의서를 제출하면서 재개발 사업이 급물살을 탔지만 주민 80여 명이 '기대보상액이 너무 낮다'며 재개발 추진을 중지하거나 방식을 바꾸라며 요구하고 나선 것.
남산2동 명륜지구는 부지 면적 4만8천㎡에 296가구가 사는 노후 도심으로 시가 2006년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 구역'으로 지정했고, 같은 해 7월 이재하 씨(재개발추진위원장)가 재개발추진위원회를 구성한 뒤 2009년 주민 220명(전체의 74.3%)의 동의를 얻어 정비구역 지정 신청 동의서를 제출했다.
또 조만간 재건축조합을 꾸려 시공사를 선정하고 지구 내에 1천144가구, 연면적 16만6천413㎡ 규모의 고층 아파트 단지를 세운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보상금 문제로 일부 주민이 반발하면서 재개발이 주민 간 갈등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지구는 준주거지역이라 공시지가가 3.3㎡당 약 100만~400만원으로 낮은 편이어서 재개발 시 보상받을 토지 감정평가액도 비슷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는데, 이 보상액으론 이주 비용도 마련하기 어렵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주민 이모(70) 씨는 "현 땅값대로라면 66㎡ 규모 주택의 보상금은 최대 8천만원이다. 이 금액으로는 비슷한 규모의 전셋집도 못 구한다"며 "재개발추진위는 이곳을 중심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해 땅값을 올리든지, 대기업이 시공사로 나서 이곳을 비싸게 사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개발추진위 측은 '아직 감정가가 나오지 않은 만큼 섣불리 판단하기는 이르고, 요즘처럼 재개발이 어려운 상황에서 더는 지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재개발추진위 관계자는 "재개발 결정 후 9년이나 지체된 탓에 마을이 갈수록 노후화되고 있다"며 "요즘엔 재개발 부지를 사려는 건설사가 없고 상업지구로 바꾸면 또다시 오랜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중구청도 시에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한 만큼 재개발 철회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중구청 건축주택과 관계자는 "주민이 구청에 정비구역 지정 신청서를 한번 제출하면 이를 철회할 수 없다"며 "내년 1월 31일까지 주민 50% 이상이 재개발추진위 해산 의견을 내면 사업을 중단할 수 있지만 현재로선 재개발 철회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