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이 시행 보름 만에 실패한 법으로 판명나고 있다. 소비자에게 보조금과 요금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게 한다는 입법 취지는 간데없고 오히려 소비자를 '호갱'(호구+고객의 비속어)으로 만들어버렸다. 단말기 보조금 상한제 도입으로 소비자의 통신요금 할인 혜택이 줄면서 단말기 구입 가격만 다락같이 올랐다. 반면 이동통신사는 보조금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돼 희희낙락이다. 도대체 이런 법이 어떻게 국회를 통과했는지 분통이 터진다.
지난 5월 국회에서 단통법이 통과될 때 215명의 출석 의원 중 단 한 명도 반대하지 않았다. 그래놓고 여야는 이제 와서 정부만 나무라며 개정안을 낸다, 국민에게 사과한다며 야단법석이다. 제 얼굴에 침 뱉기도 이 정도면 절망적이다. 이런 희극은 국회의원들이 단통법에 어떤 문제가 있고 예상되는 부작용은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얘기 밖에 안 된다. 우리 정치권의 무능과 무사안일이 어느 정도인지 잘 보여준다. 이런 정치가 법을 주무르고 있으니 국민의 삶은 고달플 수밖에 없다.
국회의 졸속 입법, 졸속 통과는 이제 만성질환이 됐다. 아무도 그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다. 지난 2013년 12월 31일과 새벽 사이 113개 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했는데 이 중 58%에 해당하는 65개 법안이 가결 당일 또는 가결 전날 제안됐다. 국회의원들이 그 많은 법률안의 문제점이나 부작용에 대한 검토는 차치하고 조문이라도 제대로 읽어봤는지 궁금하다.
의원 입법의 폭주는 이처럼 참을 수 없이 가벼운 입법을 부추긴다. 15대 국회 때 1천114건에 불과했던 의원 발의 법안은 해마다 늘어 19대 국회에 들어서는 전반기에만 9천 542건으로 18대 전체 건수(1만 2천220건)의 78.1%에 달했다. 이는 수많은 날림 법안을 양산한다. 의원 입법은 법안 작성, 의원 10명 이상 서명, 국회 제출까지 3단계만 거치면 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의원들은 공동발의에 서로 이름을 빌려준다. 이렇게 쌓은 입법 실적을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표시로 국민에게 내민다. 그러나 '김영란법' 같은 정작 필요한 법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이것이 지금 우리 정치권의 추한 모습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