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日 위안부 피해 기록 유네스코 기록유산 꼭 등재"

입력 2014-08-28 09:26:55

구미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참석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한국 여성들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에 힘을 모으겠습니다."

구미에서 열린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WIN) 참석한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행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했다. 여성가족부는 올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 기록을 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에 등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명의 지역담당관을 '명예 국제 인권활동가'로 위촉, 이 문제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고 동남아시아 등 전시 피해여성이 있는 나라들과 연대해 일본의 진심 어린 사죄를 받겠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같은 여성이라도 수도권보다 지역에 있는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더욱 취약하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구미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대구경북 여성들에게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인 여성들은 고국을 방문해도 대부분은 서울에만 머물다 돌아갑니다.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행사는 그들에게 한국의 발전 상을 보여주고 지역 여성단체와 교류를 통한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번 회의는 경력단절예방과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를 주제로 어느 때보다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한국을 떠나 세계 각국에 흩어져 살면서 역경을 딛고 성공하기까지 겪은 생생한 체험담이 전하는 메시지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가족친화적인 사회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업의 동참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여성가족부는 기업들의 동참을 끌어내기 위해 일'가정 양립지원 제도를 모범적으로 시행하는 기업에 '가족친화기업인증'을 부여해 은행금리 우대와 상장기업 인증정보 자율공시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지방세 세무조사 유예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모든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인증 의무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남성들의 육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맞벌이가정이 믿고 맡길 수 있는 돌봄 선생님을 파견하는 '아이돌보미서비스'도 추진 중이다. 또 10월부터 '아빠의 달' 제도를 도입하면서 그동안 60%만 지급하던 임금을 100% 지급하도록 했다.

김 장관은 "출산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 195만5천 명 가운데 18만7천 명이 대구경북 여성"이라고 했다. 여성가족부는 대구 4곳, 경북 7곳의 여성 새로일하기센터를 운영 중이다. 그는 "섬유, 관광 등 대구경북의 특성을 반영해 기업 맞춤형 훈련과 전문기술훈련, 직장 적응을 위한 인턴십 등을 통해 일자리 연계를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