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생활자 살림 비상, 집주인 전세금 대폭 인상 대출 금리는 여전 이중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가 1%대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예금생활자, 전세입주자, 고정금리대출자들의 살림이 더욱 팍팍해질 전망이다.
17일 금융권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8년 연 5.87%에 달하던 시중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2010년 3.86%, 지난해 2.89%를 거쳐 지난 6월에는 2.68%로 크게 떨어졌다.
현재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상품의 금리는 2% 초반대다. 국민은행의 주력 예금상품인 '국민수퍼정기예금'의 1년 만기 상품 금리는 연 2.29%에 불과하다. 하나은행의 '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과 '빅팟 정기예금'의 금리 역시 연 2.2%, 우리은행의 '우리유후정기예금'도 3천만원 미만 가입 시 연 2.3%의 금리를 준다. 여기에 지난 1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기존 연 2.50%에서 연 2.25%로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연 2% 초반대 예금상품마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예금생활자들의 살림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은퇴 후 생활자금의 대부분을 이자소득에 의존하고 있는 고령층의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5년 전 서울의 직장과 집을 정리하고 고향인 경북 상주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김상철(63) 씨는 "퇴직금과 서울에서 살던 집을 정리하고 은행에 묻어 둔 돈의 이자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 예전에는 농사를 그저 재미로 지을 수 있었지만 요즘은 생활에 위기를 느낀다"고 했다. 김 씨는 최근 지역의 저축은행이 특판행사로 3%대 예금상품을 내놓자마자 바로 가입했다. 더불어 서울에서 함께 직장생활을 했던 동료들이 월세수입을 기대하고 상가나 오피스텔(원룸)을 구입하고 있다는 말은 듣고 인근 부동산에 매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전세생활자들도 힘겨운 날들을 보내고 있다. 집주인들이 저금리를 이유로 계약연장 시 전세금을 대폭 올리거나 월세로 전환하고 싶다는 의견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월 전세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는 김진태(39) 씨는 "대출을 받아서라도 전세금을 올려줄 생각이었는데 집주인이 월세로 전환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와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전세물량이 많지 않아 원하는 집을 구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고 했다. 지난 5월 전세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데 비해 월세는 13.4%나 늘었다. 금융권에선 전세금 인상에 따른 전세자금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지난 2009년 10조5천억원이던 은행권 전세자금대출은 지난해말 28조원으로 167% 증가했다.
집을 마련했다고 해서 마음고생으로부터 해방되지도 않는다. 고정금리대출자들의 속은 타들어간다. 금리는 떨어지고 있지만 자신의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전혀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현재 가계 대출 가운데 잔액기준 고정금리대출 비중은 25.7%다. 200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규대출기준 고정금리대출 비중도 42.3%에 육박했다.
정부가 그동안 주택담보대출자들의 상환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로 고정금리 상품의 판매를 적극 독려했기 때문이다. 고정금리상품 대출자들은 중도상환수수료 때문에 쉽게 대출상품을 갈아타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