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치연합, 입법비리 의원 보호는 곧 당의 죽음

입력 2014-08-06 11:24:16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은 어제 기자간담회에서 당의 혁신 방향에 대해 "변화와 혁신의 화려한 겉치레가 아닌 근본에서부터 출발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신계륜'김재윤'신학용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에 보인 반응을 보면 그런 의지 표명은 말 뿐이라는 의심을 갖게 한다. 박 위원장은 "명백하게 증거가 나온 새누리당 관계자(박상은'조현룡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에 야권 인사를 끼워넣은 전형적인 물타기 수사"라고 했다. 매사를 이런 음모론적 시각에서 보는 구습을 버리지 못하면 아무리 혁신을 외친들 국민의 마음을 얻기는 힘들다.

검찰은 세 의원이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SAC)의 옛 교명(校名) 서울종합예술직업학교에서 '직업'이란 단어를 빼주는 대가로 SAC 김민성 이사장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혐의는 검찰의 계좌추적을 통해 1천500만~5천만 원의 금품을 받은 사실이 확인되면서 확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들의 혐의가 사실이라면 사익(私益) 추구에 입법권을 악용한 용서할 수 없는 범죄다.

이에 대해 당사자들은 펄쩍 뛰고 있다. "직업학교라는 표현이 학생들에게 열등감을 심어주고 비주류 직종에 종사할 사람이라는 선입견을 유발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신계륜 의원)였다는 것이다. 검찰의 말이 맞는지 자신들이 맞는지는 법정에서 가리면 된다. 검찰에 출석하기도 전에 "황당하다" "사실무근"이라며 목에 핏대를 세우는 것은 국민에게 세 의원이 무언가 찔리는 게 있어 그런다는 인상을 줄 뿐이다.

더 실망스러운 것은 이들 세 의원에 대한 새정치연합의 당 차원의 대응이다. 지도부건 평의원이건 한목소리로 '물타기 수사' '야당탄압'이란 말을 뱉어내고 있다. 이런 음모론적 발상은 절대로 국민의 공감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새정치연합은 깊이 인식해야 한다. 나아가 7'30 재보선 참패에 따른 당 혁신작업의 진정성도 의심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세 의원 구하기가 당 전체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는 것 또한 명심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방탄국회'는 아예 생각도 말아야 한다. 새정치연합이 그렇게 어리석지는 않을 것이라 믿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