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가구의 빈부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년 동안 빈부격차를 나타내는 각종 지표들이 모두 높아졌다. 특히 지난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빈부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장 소득 기준으로 도시 2인 이상 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14.5%에 달했다. 1993년(8.2%)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아졌다. 상대적 빈곤율은 연소득이 중위소득의 절반 이하인 가구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대적 빈곤율은 1990년대 꾸준히 상승하다 외환위기가 닥치자 1997년 8.7%에서 1998년 11.4%로 급등했다. 꾸준하게 상승세를 이어가던 상대적 빈곤율은 세계 금융위기를 계기로 2008년 14.7%에서 2009년 15.4%로 다시 한 번 가파르게 올랐다. 이후 2010년 14.9%, 2011년 15.0%, 2012년 14.4%에 이어 지난해 14.5%로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소득격차를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인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역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지난해 5.70을 기록했다. 1993년에는 3.84에 불과했었다. 대표적인 빈부격차 표시지표인 지니계수 역시 1993년 0.256에서 지난해 0.307로 높아졌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모두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가 급격하게 벌어졌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