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독·호 등 수영은 필수 과목…물에 빠졌을 때 생존법 가르쳐 기업들도 비상 훈련
선진국은 안전교육을 어떻게 할까? 대부분 선진국은 학교 활동에 '안전 우선' 원칙을 적용하고 안전교육을 '체험형'으로 진행한다.
미국 학교에서는 '화재훈련'(Fire Drill)이라 해서 3개월에 한 번씩 학내에 불시에 비상벨을 울려 모의 화재 대피훈련을 한다. 또 다양한 상황에서의 요령도 반복적으로 배운다. 미국인 피쉬(24) 씨는 "미국 학교에서는 구명조끼 입는 법, 토네이도 대피 훈련, 총기 사고가 났을 때 하교하는 법, 경찰에 연락하는 법 등 상황마다 체험하도록 배운다"고 소개했다.
학교뿐 아니다. 회사에서도 사무실의 구획을 나눠 'A구역은 A비상구', 'B구역은 B비상구' 식으로 달려나가라는 교육을 입사 때부터 주기적으로 받는다. 실제 비상 대응 훈련도 한다. 행사가 열릴 땐 어떤 식순보다도 건물 책임자가 나와 화재 시 탈출로를 설명하는 게 우선이다. 미국 뉴욕 주에 살다 온 이진승(35) 씨는 "미국 회사에 다닐 때 연간 2회씩 고층 건물을 탈출하는 비상훈련을 했다. 각 부서 책임자들은 매우 밝은 특수 손전등과 호루라기를 들고 구명조끼를 입은 채 훈련에 임했다"고 했다. 또 줄 세우는 담당자, 건물 안내 담당자 등을 고정적으로 정해놓는다. 이 씨는 "실제 상황이라 생각하며 전 직원이 꼭대기층에서 1층 외부까지 계단을 통해 한 줄을 서서 탈출하는 훈련을 한다. 재난은 예고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훈련도 사전 예고 없이 불시에 행해진다"고 했다.
일본에서는 소학교(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경찰관이 하는 교통안전 교육부터 시작해 매달 지진'화재 대피 실습교육을 받는다. 중학교까지 전 학생이 수영을 배우도록 규정해 놓았다. 모든 학교에 수영장이 있어 물에 빠졌을 때 살아남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 독일도 수영은 초등학교 때부터 필수 과목이다. 또 독일은 초등학교 때 자전거 면허증을 따도록 해 면허증이 없으면 혼자 자전거를 탈 수 없도록 했다. 호주에서도 초등학교 때부터 학생들이 물에 빠질 때를 대비해 옷 입고 수영하는 법과 신고하는 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친다. 영국에서는 매 학기 불시에 비상벨을 울려 학생들에게 화재 대피훈련을 시킨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