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처음 모습은 어땠을까. 지금은 스마트폰처럼 손안에 들어오는 컴퓨터까지 나와 있지만, 보통 최초의 컴퓨터라고 일컬어지는 에니악(ENIAC)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했다. 무게 30t에 길이는 30m, 크기는 작은 집 한 채 만했다. 1만8천 개의 진공관으로 작동하는 에니악은 150㎾의 전력을 소모하는 '전기 먹는 공룡'이기도 했다.
20세기 정보화 혁명의 효시인 에니악이지만, 개발의 시작은 전쟁을 위한 것이었다. 대포나 미사일을 발사할 때 탄도 계산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서였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선발된 인물이 당시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공학 교수였던 존 모클리와 이 학교 졸업생 존 에커트였다. 1943년 미 육군 연구소와 계약한 두 사람은 앞선 1942년에 개발된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의 설계를 기반으로 연구에 착수했다. 1946년 오늘 비로소 완성된 에니악은 십진수 10자리의 곱셈을 0.0028초, 나눗셈을 0.006초 이내에 처리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보였다. 정보통신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1955년까지 사용되다 퇴출되었다.
홍헌득 특집부장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