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처럼 많은 오해를 받는 동물도 드물다. 고양이를 키울까, 말까 망설이는 독자들을 위해 고양이 Q&A를 만들었다. 수년간 삶을 통해 고양이 지식을 체득한 고양이 '집사'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답변을 구성했다.
Q: 고양이는 주인을 무시한다?
A: 고양이에 따라 다르다. 고양이는 성격이 뚜렷한 동물이다. 직장인 도귀은(37'여) 씨가 기르는 흰 고양이 '찬이'는 '개과'다. "찬이!"하고 이름을 부르면 곧바로 날아온다. 도 씨는 "옆집 애가 만져도 머리를 대고 바로 온다. 대신 본인의 의사가 뚜렷해서 하기 싫은 것은 절대 안 한다"며 "발톱 깎기 싫은데 발톱을 계속 깎자고 하거나, 쉬고 싶은데 내가 놀자고 보채면 절대로 안 온다"고 말했다.
Q: 고양이는 외로움을 타지 않는다?
A: 아니다. 외로움을 타지만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뿐이다. 8살 어르신 고양이 '표야'를 키우는 경봉주 (37'여) 씨는 "고양이가 식구들이랑 같이 있을 때는 '너 왔냐?'는 표정으로 쳐다보지만 집에 혼자 남아있을 때는 나한테 와서 안긴다. 또 자립심이 강해서 진짜 아파 죽을 때쯤 돼야 아프다고 표현한다"고 설명했다.
Q: 고양이는 목욕을 자주 시키지 않아도 된다?
A: 맞다. 고양이는 자기 몸을 핥으면서 그루밍(grooming)을 하는 동물이다. 스스로 털 관리와 '셀프 목욕'을 수시로 하기 때문에 목욕을 안 시켜도 냄새가 나지 않는다. 다만, 털이 긴 고양이는 주인이 수시로 빗어주는 것이 좋다. 고양이 두 마리를 키우는 신영하(27'여) 씨는 "민이(8)는 6개월 전에, 흰 고양이 달이(8)는 얼마 전에 목욕을 했다. 고양이는 피부가 약해서 자주 목욕을 시키면 오히려 좋지 않다. 태어나서 한 번도 목욕을 안 한 고양이도 있다"고 말했다.
황수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