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상산고가 어제 친일'부실 논란을 빚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채택을 철회했다. 지학사 교과서와 병행 채택한 사실이 알려진 후 재학생과 동문회, 진보 성향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제기된 전방위 압박의 결과다. 이로써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곳은 경북 청송 청송여고 한 곳이다. 군인 자녀를 위한 기숙형 학교로 3월 개교를 앞둔 경기 파주 한민고도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취소했다. 전국 고교 수가 2천300여 곳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교학사 교과서는 거의 폐기 수준이다.
고교에서 자율적으로 이뤄져야 할 교과서 채택 과정이 진보와 보수 간 이념 대결로 얼룩진 것은 유감이다.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가 이해 단체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더기로 철회된 것은 유례없다. 이익단체들이 나서면 고교 교과서 채택의 자율성도 해칠 수 있다는 나쁜 선례를 남겼다.
교학사 측이 일부 오류 등으로 우 편향 논란의 빌미를 제공한 것은 더욱 유감이다. 이 교과서는 애초 위안부에 대해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고 서술했다. 누가 봐도 받아들이기 힘든 표현이었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배포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사태까지 불러왔다. 일제의 쌀 수탈을 '반출'로, 항일 의병을 일본군이 학살한 것을 두고 '토벌'이라고 잘못 썼다. 교학사는 지난해 12월 교육부의 수정 명령에 따른 최종 승인 이후에도 또다시 수정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사후약방문이다.
교육기본법은 "교육은 정치적'파당적 또는 개인적 편견의 전파를 위한 방편으로 이용돼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번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채택 외압 논란은 이에 명백히 위배된다. 그럼에도 새누리당은 "전교조 등이 자율 선택을 방해했다"고 주장하고 민주당은 채택 철회 과정에 대한 교육부의 조사 자체가 외압이란 주장을 펴고 있다. 여론은 오히려 완성도 높은 교과서를 요구하는 쪽이다. 교과서는 사실(史實)에 입각해 한 자의 오류도 없이 제작돼야 한다. 그리고 그 채택 여부를 두고 외부 세력이 개입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