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새마을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

입력 2013-12-23 07:36:26

새마을운동에 대한 논의가 부쩍 활발했던 2013년 올 한 해도 저물어 가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의(IAC)가 1970년대 새마을운동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결정한 영향일까, 올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새마을운동 전수를 요청한 국가가 20여 개국에 달해 요구를 다 수용하지 못할 정도라고 한다. 새마을운동은 최근까지 132개국의 관계자가 학습했고, 그중 109개국은 합숙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유엔 회원국이 193개국임을 기준으로 하면 약 68%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왜 새마을운동이 주목받고 있고, 배우려고 할까? 첫째는 개도국 농촌의 성공적인 발전모델을 제시했고, 둘째는 농촌뿐 아니라 한국의 압축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개도국들의 평가에 연유한다고 본다. 새마을운동 성공의 핵심적인 요소는 절대빈곤 탈피라는 적정한 목표 선정,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동기 부여,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집행, 추진 매개체로서 새마을지도자의 선정 및 교육과 양성, 행정기관의 적절한 행'재정 지원, 신념을 지닌 최고지도자의 리더십 등을 들 수 있다.

새마을운동에 대해선 2011년 2월 18일 국회가 참석의원 209명 중 91.4 %인 191명(반대 5명, 기권 13명)이 찬성해 '새마을의 날'(4월 22일)을 법정기념일로 정한 바 있다. 노무현 대통령 임기 첫해인 2003년 12월 9일 저녁 청와대에서 노 대통령과 알제리 부테플리카 대통령 간의 대화 내용을 다룬 조선일보 최보식 기자 칼럼에 의하면, 당시 노 대통령은 박정희 전대통령의 새마을운동을 평가하고, 또 꽉 쥔 주먹을 흔들며 새마을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새마을운동 말만 나오면 1970년대로 회귀하자는 것인가 하고 비판하곤 한다. 마치 화랑정신의 핵심인 충효정신을 발전시키자고 하면 신라시대 생활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오해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본다.

김대중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정부 시절을 비롯해 40여 년 새마을운동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필자는 요즘 걱정스러운 마음이 없지 않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새마을운동에 관한 오해가 계속되고 있는 점과, 준비 없는 관심 과열이 새마을운동 정신과 가치의 본질을 훼손할 수도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과거 방식의 새마을정신 실천운동으로는 더 큰 성과를 갖기는 어렵다는 것은 공감하고 있어 보이지만 구체적 변화 모습은 아직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새마을운동은 어떻게 해야 할까? 국외적으로는 개도국들의 빈곤 극복과 지역발전을 위해서 각 국가 특성에 맞는 모델로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베트남형, 콩고형 등으로 각 활용국가의 지역,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현지적 특성에 맞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국내적으로는 '더불어 잘 사는 행복한 사회'를 위한 비물질적 인프라 구축과 확산이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마을운동의 기본정신에다 변화된 환경을 감안한 정신과 사회환경에 맞는 추진원리가 접목되어야 할 것이다.

지난날 절대빈곤 극복을 위해 '자립'을 목표로 한 새마을정신이 근면'자조'협동이라면, 앞으로는 시대적 가치인 나눔'봉사'창조 등의 정신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회문제와 공동체 붕괴 원인 등을 치유하고,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동체 운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추진방식과 참여자 역할도 시대환경에 맞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우리도 잘 살아 보자' 였다면, 이제부터는 한편으로는 빈곤문제를 비롯한 지구촌 공동문제 해결에 이바지하고, 또 한편으로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이며, 주민주도적이고,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사회운동으로 추진되어 한국이 품격 높은 문화국가로 발전하는 새로운 성장동력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최외출 영남대 교수'글로벌 새마을포럼 회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