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전국 1만 7천664가구를 대상으로 한 '2013년 사회 조사' 결과 약 절반의 국민(46.7%)이 '나는 하층민'이라고 답했다.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간층이라고 답하는 비율은 51.4%로 지난해보다 1.4%p 줄었다.
하층민이라는 응답은 근년 들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데 올해는 작년보다 1.4%p 늘어 절반 턱밑까지 갔다. 이 조사를 처음 실시한 1988년에는 하층민 비율이 약 37%였는데, 불과 25년 만에 약 10%p가 늘었다. 더 심각한 것은 조사대상의 60%는 미래를 희망보다 절망 내지 불안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열심히 일해도 직장을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과 평생 노력해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지금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이 터져 나온 배경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 데 모든 역량을 기울여야 한다. 나와 우리 이웃이 희망보다 절망을, 자부심보다 좌절을 품고 산다면 그건 '위험한 사회'이다.
6'25의 잿더미에서 세계 7번째로 20-50클럽(소득 2만 달러, 인구 수 5천만 명)에 가입할 수 있었던 대한민국의 저력은 누구나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면 지금보다 더 나은 살림, 지위, 행복, 명예,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는 인식과 경험에서 나왔다. 통계청의 사회 조사 결과는 이런 기류가 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적신호이다.
중산층 70%, 국민 행복시대를 표방한 박근혜정부가 이를 방치할 경우, 중산층(51.4%)보다 하층민(46.7%)이 많아지는 것은 순간이다. 국민 2명 중 1명이 하층민이라고 스스로 응답하는 현상이 국민 인식의 변화 때문인지, 상대적인 박탈감 때문인지, 사회구조가 희망의 사다리를 걷어차기 때문인지, 부패와 비리의 사회구조를 방치했기 때문인지 그 원인을 찾아내고 해결책을 찾는 것은 위정자의 책임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