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나노바이오연구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바이오연구부는 자연현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미케노발광필름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나노바이오연구부 정순문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미케노발광재료(ZnS, 황화아연)를 유연한 고무에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밝기 및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산업분야에 적용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미케노발광 기술분야는 그동안 발광원리 규명이 불투명해서 학문적 흥미로만 다뤄졌다. 이 기술은 바람, 진동 등 자연현상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상용화되면 환경 및 자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기술로 꼽힌다.
연구팀은 두 가지 이상의 미케노발광재료를 조합해 다양한 미케노발광색 및 백열전구의 온백색을 구현, 디스플레이 및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재료공학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저널 11월 20일자 표지논문으로 출간됐다. 정 연구원은 "수백 년 동안 난제로 여겨지던 미케노발광 기술을 응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면서 "원천기술을 확보하면 디스플레이 및 조명 분야의 융·복합을 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
金-韓 단일화 2차 담판도 파행 …파국 치닫는 '反이재명 빅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