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장관과 경질된 전 기무사령관이 정면충돌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이번 충돌은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기무사령관을 임명한 지 6개월 만에 경질하면서 비롯됐다. 김 장관은 경질 이유로 '자질 부족'을 내세웠고 경질된 장경욱 전 기무사령관은 김 장관의 부적절한 인사에 대한 보고서를 청와대에 직보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에게 직보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군의 핵심 기관이 치고받는 모습에 국민은 불편하다.
발단이 된 기무사의 보고서는 '노크 귀순'에도 무방비 상태였던 김 장관이 능력 위주 인사를 한다며 함께 근무했던 인사들을 중용했다거나, 독일 육사 출신을 우대한다는 등의 문제를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장성 인사가 사적 연고와 인맥을 바탕으로 난맥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김 장관의 인사 스타일은 지난주 국정감사에서 기무사령관 출신 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이 특정 고교 인맥의 득세 등 인사 전횡을 질타했을 정도로 문제가 많다.
국방부는 이번 인사 관련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하고 있다. 하지만 군 인사의 공정성과 기강 확립을 위해서도 이번 사태의 시시비비는 정확히 가려야 한다. 김 장관이 스스로 임명한 지 6개월밖에 안 된 기무사령관을 경질하면서 자질 부족을 이유로 든 것은 옹색하다. 인사 이전에 충분히 검토를 하였을 터인데 갑자기 있던 자질이 사라졌다는 설명으로는 국민을 납득시키기 어렵다.
국민들은 군 장성 인사에 대해 불안함과 의구심을 떨쳐 내지 못하고 있다. 장 전 기무사령관이 제기한 문제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규명이 필요한 이유다. 기무사가 청와대에 군 내부 비리를 직보하는 관행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면 합리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군 내분을 불러온 국방장관의 인사 스타일에 개선점은 없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