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수행 대체로 긍정적…MB·盧 때보다 지지율 높아
박근혜 대통령이 4일로 취임 100일째를 맞이한다. 청와대는 취임 100일을 맞아 기념행사를 갖는 등의 특별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취임 100일의 평가는 52%~65%로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 65.4%로 가장 높았고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도 65.0%로 나타났다. 매일경제-한길리서치 여론조사에서는 53.9%였다.
또한 여론조사기관인'리서치뷰'와 '모노리서치'의 취임 100일 여론조사에서는 각각 53.5%와 59.6%로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휴대전화로 여론조사를 한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52%가 긍정적으로 평가, 취임 100일 여론조사 중에서 가장 낮았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인사참사'가 잇따르던 3월 말, 41%대까지 추락하다가 북한의 도발위협에 일관성 있게 대처하면서 점차 회복되기 시작했고 5월 초 미국을 방문, 한미정상회담을 가진 직후 56%까지 수직 상승했다.
그러나 곧바로 윤창준 전 대변인의 성추행 사태가 터지면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다시 곤두박질 치면서 일주일 사이에 5, 6% 떨어지기도 했다.
취임 100일은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를 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다. 특히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늦어지면서 국정운영 성과보다는 '인사'를 둘러싼 논란이 가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평균 50% 중반대의 국정지지율은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박 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높다는 반증이다.
여론조사상에서도 '인사'와 창조경제 등 국정 기조를 둘러싼 혼선에 대해서는 혹독한 평가를 받았지만 개성공단 잠정폐쇄 등 대북문제에 대한 일관성있는 대처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등의 외교안보기조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뤘다. 여전히 부족해 보이는 '소통 리더십'과 공약실천의지 부족 등도 박 대통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취임 100일 시점에 쇠고기 촛불사태와 맞딱뜨린 이명박 전 대통령이 21%, 노무현 전 대통령이 40%의 지지율을 기록한 것에 비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높은 편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62%, 김영삼 전 대통령은 83%, 노태우 전 대통령은 57%의 지지율을 보였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