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아파트 시장은 4.1부동산 대책 이후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매매시장은 매도호가가 상승하면서 가격의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전세시장은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
대구지역 아파트 매매시장은 지난 2주간 0.16%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소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면적별로 보면 66㎡ 이하가 0.20%, 66-99㎡는 0.22%, 99-132㎡은 0.20%, 132-165㎡는 0.10%, 168㎡ 이상은 0.02%의 변동률을 보였다.
지역별 변동률은 달서구가 0.21%의 변동률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달성군 0.18%, 남구 0.17%, 동구 0.16%, 서구 0.11%, 수성구 0.07%, 중구 0.05% 순으로 집계됐다.
전세시장은 같은 기간 0.09%의 변동률을 나타내며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세 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인 것은 지난 2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최근 전세시장은 어느 정도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고 일부 대형 평형에서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4.1 부동산종합대책 영향으로 주택 거래가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세가를 내리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66㎡ 이하 0.03%, 66-99㎡ 0.15%, 99-132㎡ 0.10%, 132-165㎡는 0.05%, 168㎡ 이상은 -0.04%의 변동률을 보였다.
지역별 변동률은 서구가 0.21%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북구 0.18%, 달서구 0.11%, 수성구 0.05%, 동구 0.02%의 변동률을 나타내며 상승했다.
이진우 부동산 114 대구경북지사장은 "향후 지역 아파트 시장은 시기적으로는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의 상승세가 둔화돼야 하지만 4.1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한동안 매도호가가 상승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