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3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대검 청사 10층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현판은 23일 채동욱 검찰총장과 길태기 대검 차장, 박영수 전 중수부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철거됐다. 1981년 4월 '중수부' 현판을 처음 단 지 꼭 32년, 중수부의 전신으로 1961년 4월 발족한 중앙수사국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52년 만이다.
대검 중수부는 검찰총장의 명을 받아 직접 수사하는 직할 부대로 정치권,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대형비리 사건을 도맡는 한편 전국의 지검'지청 특수부를 총괄하는 등 검찰의 심장과도 같은 존재로 평가받았다.
이철희'장영자 어음 사기 사건(1982년), 수서지구 택지 특별분양 사건(1991년), 율곡사업 비리 사건(1993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사건(1995년), 한보비리 사건(1997년), 김현철 비리 사건(1997년), 불법 대선자금 사건(2003년), 현대차 비자금 사건(2006년), 저축은행 비리 수사(2011년) 등 굵직한 사건이 모두 대검 중수부의 작품이다.
그러나 중수부는 끊임없이 정치적 중립성, 표적 수사 등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며 '정치검찰', '권력의 시녀'라는 오명에서 자유롭지 못했고, 결정적으로 2009년 박연차 게이트 사건 및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로 중대 고비를 맞았다.
이후 검찰 안팎에서 중수부 폐지 여론이 본격화됐고, 대선 과정에서의 중수부 폐지 공약에 이어 채동욱 검찰총장이 이를 공식화하면서 폐지가 확정됐다.
검찰은 이날 중수부 폐지에 따른 업무 공백을 막고 특별수사체계를 전면 개편하기 위해 대검에 '검찰 특별수사체계 개편 추진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TF는 '특별수사 지휘 및 지원부서'가 새로 만들어질 때까지 전국 지검'지청에 지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